IMF 위기극복 주역들 “평소 개혁 않으면 또 고통의 나락”

IMF 위기극복 주역들 “평소 개혁 않으면 또 고통의 나락”

오달란 기자
오달란 기자
입력 2016-11-30 22:22
업데이트 2016-11-30 23:2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코리안 미러클4’ 발간 보고회

“DJ, 정치적 이해관계 벗어나
개혁 이끌 경제 드림팀 발탁”


이미지 확대
“선배님들께 한 수 배우겠습니다”
“선배님들께 한 수 배우겠습니다” 유일호(오른쪽)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30일 서울 중구 플라자호텔에서 열린 ‘코리안 미러클4: 외환위기의 파고를 넘어’ 발간 보고회에 참석해 외환위기 극복의 주역인 전직 관료들과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앉은자리 왼쪽부터 진념 전 경제부총리, 이규성 전 재정경제부 장관, 강봉균 전 재정경제부 장관, 유 부총리.
연합뉴스
1997년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를 극복한 주역들이 30일 한자리에 모였다. ‘부실기업의 저승사자’, ‘구조조정 전도사’, ‘외환방패’ 등 무시무시한 별명으로 불리며 한국전쟁 이후 최대의 환란에 빠진 나라 경제를 구해 낸 이들의 머리는 어느덧 하얗게 세어 있었다.

한국개발연구원(KDI)과 ‘육성으로 듣는 경제기적 편찬위원회’는 이날 서울 중구 플라자호텔에서 ‘코리안 미러클4: 외환위기의 파고를 넘어’ 발간 보고회를 가졌다. 외환위기 당시 경제 정책을 주도했던 인물들은 당시 소회를 털어놓으며 현 한국 경제에 대한 날카로운 진단도 함께 내놨다.

참석자들은 외환위기를 극복할 수 있었던 배경으로 김대중 당시 대통령의 강력한 리더십과 소통 능력을 꼽았다. 환란 당시 청와대 경제수석이었던 강봉균 전 재정경제부 장관은 “김 전 대통령은 어려운 시대 상황 속에서 개혁 의지를 가졌고 개혁을 실천할 전문적 역량을 갖춘 경제팀을 정치적 이해관계나 고려 없이 발탁했다”면서 “그렇게 꾸려진 경제팀은 각 분야에서 오랫동안 전문성을 인정받은 실무형 관료였고 드림팀으로 평가할 만큼 팀워크가 좋았다”고 돌아봤다. 강 전 수석은 특히 “국민에게 개혁 과정을 잘 설명하고 동의를 얻은 덕분에 국회의 정치적 협력도 잘 이끌어 낼 수 있었다”고 평가했다.

외환위기가 한국 경제에 미친 영향과 현 상황에 대해 전직 고위 관료들은 다양한 평가를 내놨다. “IMF 체제는 위장된 축복이었다”고 주장한 이규성 전 재정경제부 장관은 “위기 극복 과정에서 시장경제와 민주주의 창달을 위한 제도적 틀을 확립했다”면서 “평소에 상시 개혁을 게을리하면 또 고통의 나락으로 떨어질 것”이라고 짚었다.

이헌재 전 재정경제부 장관은 현재의 어려운 정치·경제 상황과 관련해 “굳이 말로 하지 않아도 되는 구성원들의 통합된 지적 능력, 사회가 공유한 정서인 암묵지(暗默知)와 경험지(經驗知)가 혼돈의 시대를 꿰뚫어 보는 통찰력의 원천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세종 오달란 기자 dallan@seoul.co.kr
2016-12-01 20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