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은귀의 詩와 視線] 아름다운 비밀

[정은귀의 詩와 視線] 아름다운 비밀

입력 2024-05-20 23:52
업데이트 2024-05-20 23:5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당신이 보는 흙은 그냥 흙이 아니오.

그건 우리 조상들 피의 먼지요,

그분들 살의 먼지요, 뼈의 먼지이니.

우리는 다른 인디언이 그걸 빼앗지

못하도록 싸우고 피 흘리고 죽었고

백인들을 도우며 싸우고 피 흘리고

죽었지요. 만약 당신이 자연의 흙을

찾고자 하면 땅 표면을 파고 아래로

내려가야 할 것이오. 땅의 윗부분은

크로의 것이기 때문에요. 이 땅은

그대로, 내 피요, 내 죽음입니다,

이 땅은 신성하기에 나는 어느 한

부분도 포기하고 싶지 않아요.

―1936년, 북미 원주민 크로족의 말

오랜만에 안부 전화를 드리니 선생님은 마당에서 풀을 뽑고 있었다고 말씀하신다. 선생님의 마당에는 색색의 꽃들이 가득하다. 올봄에 꽃이 유난히 아름다웠다고. “꽃이 예쁘게 잘 피니까 풀도 예쁘게 무성하더라.” 선생님의 말씀은 그대로 내게 그날의 가르침이 된다. 풀이나 꽃이나 다 같은 대지, 같은 바람, 같은 햇살을 받고 자란다는 것. 뜰에 예쁜 꽃만 피어나기를 바랄 수는 없다는 것. 그렇다고 풀을 그냥 놔둘 수는 없을 것이기에 아마 선생님은 풀도 꽃처럼 다정하게 보시면서 쪼그리고 앉아 풀을 솎아내고 계실 것이다.

풀과 꽃이 알록달록 어우러진 선생님의 뜰을 생각하며 집으로 향하는 길, 이번에는 걸려오는 전화를 받았다. 6월부터 10월까지 국립중앙박물관에서 기획전시 ‘우리가 인디언으로 알던 사람들’이 열리는데 이와 관련된 일이다. ‘아메리카 인디언’은 많은 이들이 사라진 종족으로 생각하는 대상이다.

하지만 한때 우리가 인디언으로 알던 사람들은 미 대륙에서 절멸에 가까운 학살의 역사를 지나서도 살아 있다. 살아서 우리에게 말을 건다. 지금 이 세계에서 무엇이 정말로 중요한지를 일깨운다. 우리가 그들을 어떻게 만나게 될지, 그들의 세계, 그들의 가치를 들여다보는 일이 어떻게 진행될지 설렘 가득한 기다림의 나날이다.

북미 인디언들은 이 세계의 조화, 평등한 관계를 중시한다. 그 세계관은 자연을 대하는 태도에서도 잘 드러난다. 땅과 물, 대기, 햇살이 모두 사람들과 함께 이 세계를 함께 만들어 가는 주체다. 몬태나주에 살던 크로족의 이야기는 땅을 재산 가치로 바라보지 않고 그 땅에 살다 간 조상들의 숨결과 함께 바라본다. 흙이 그냥 흙이 아니라 우리 조상의 피와 살과 뼈가 삭아서 내려앉은 것이란다. 그러니 대지의 모든 부분이 얼마나 소중하겠는가.

땅을 정복과 소유의 대상으로만 아는 우리에게 크로족 인디언의 말은 이 세계에 숨어 있는 비밀을 드러낸다. 서로 싸우기도 하고 돕기도 하는 이 세계의 전장에서 거저 주어진 것은 없다는 것을. 꽃이 아름다운 계절에 풀도 무성하듯이 우리 모두가 함께 이 세상에 깃들여 있다는 것을. 그리고 무엇보다 이 땅은 먼저 살다 간 이들이 목숨 바쳐 소중하게 지킨 곳이라는 것을. 우리가 잊고 사는, 슬프고 뭉클한 그래서 나누어 가져야 할 아름다운 비밀이다.

정은귀 한국외대 영문학과 교수

이미지 확대
정은귀 한국외대 영문학과 교수
정은귀 한국외대 영문학과 교수
2024-05-21 26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