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점프 코리아 2010-아이 낳고 싶은 나라]황혼의 농촌 출구는?

[점프 코리아 2010-아이 낳고 싶은 나라]황혼의 농촌 출구는?

입력 2010-04-15 00:00
업데이트 2010-04-15 00: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30대 전문농가 소득 짭짤… 귀농 희망 엿보여

농촌이 급속하게 늙어가고 있다. 지난해 65세 이상 농가인구(10㏊ 이상 경작하거나 연간 농축산물 판매금액이 50만원 이상)의 비중은 34.2%였다. 농민 3명 중 1명꼴이다. 2000년 21.7%에 불과했던 65세 이상 농가인구의 비중은 6년 만인 2006년 30%를 돌파(30.8%)했다.

이미지 확대
통계청 추계인구에 따르면 2010년 우리나라의 65세 이상 인구 비중은 11.0%다. 65세 이상 인구 비중이 34%대로 치솟는 시점은 2043년(34.2%)이다.

전문가들이 농촌에서부터 저출산 문제를 풀어야 한다고 지적하는 이유다. 반면 아이 울음소리는 갈수록 잦아들고 있다.

2008년 전국 262개 시·군·구 중 합계출산율 1위는 전남 강진(2.21명)이었다. 진안, 영암, 임실, 인제 등이 2~5위로 전국 평균치인 1.19명을 훌쩍 넘었다.

하지만 출생아 수는 계속 줄고 있다. 읍·면 지역의 출생아는 2000년 11만 7050명에서 2004년 8만 4323명으로, 2008년에는 8만 728명으로 줄었다.

저출산의 원인으로 도·농 간 소득격차가 첫손으로 꼽힌다. 도시근로자 가구 대비 농가소득의 비율은 1999년 83.6%였지만 2001년 75.9%가 되더니 2008년에는 65.3% 수준으로 떨어졌다. 열악한 교육환경도 ‘떠나는 농촌’을 만드는 요인이다.

통계청의 농촌생활지표조사에 따르면 농촌을 떠나려는 이유로 39.5%가 ‘자녀들 교육을 위해서’라고 답했다. 농촌에서 삶의 텃밭을 일구고 싶어하는 20~30대들도 막상 자녀 교육 때문에 이농을 고려하게 된다는 얘기다.

하지만 긍정적인 조짐들도 있다. 3㏊ 이상을 경작하거나 연간 판매금액이 2000만원이 넘는 전문농가의 소득은 2008년 3861만원으로 도시 근로자가구(4673만원)의 82.6%였다. 특히 30대로 좁혀 보면 연평균 소득이 4661만원으로 도시 근로자가구의 99.7%였다. 전문지식으로 무장한 젊은 농민들이 농업에 진입하면서 소득격차가 줄어들 가능성을 보인 것이다.

임일영기자 argus@seoul.co.kr
2010-04-15 16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