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2010 한국전쟁 60주년 화해의 원년] 민간인 희생자 37만명 넘어…실제는 전사자보다 많을 듯

[2010 한국전쟁 60주년 화해의 원년] 민간인 희생자 37만명 넘어…실제는 전사자보다 많을 듯

입력 2010-06-25 00:00
업데이트 2010-06-25 01: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 희생은 가해 주체가 군·경이냐, 인민군과 좌익이냐만 다를 뿐 전국적으로 거의 예외 없이 발생했다. 한국전쟁 민간인 희생자 기념사업회에 따르면 한국전쟁 당시 우리 측 희생자는 99만 2019명이며, 이 가운데 민간인이 37만 4160명이다. 1952년 공보처에서 작성한 ‘6·25사변 피살자 명부’에는 5만 9964명이 올라가 있다. 30만여명이 가입한 국민보도연맹 소속 주민 중에 군·경이 처단한 인원까지 포함하면 민간인 희생자는 군인 희생자를 넘어설 것으로 추산된다.

이미지 확대
●“한국전 우리측 99만명 희생”

집단 학살은 전세가 불리해져 퇴각할 때 주로 발생했다. 군·경은 북한에 동조할 우려가 있다고 봤고, 인민군은 국군이나 유엔군에 협력할 우려가 있다며 좌·우익 인사를 무차별 처형했다. 유형별로는 ▲인민군·좌익 관련 사건 ▲예비검속 사건 ▲국민보도연맹 사건 ▲부역혐의 사건 ▲군·경 토벌 관련 사건 ▲여순반란 사건 ▲미군 관련 사건 등으로 구분된다.

●보도연맹 4934명 피살 확인

한국전쟁이 발발하자 정부는 이른바 불순분자 또는 과거 좌익 관련 혐의자들을 예비검속해 1차로 집단 총살했다. 이후 9월까지는 국민보도연맹원을 경찰서 유치장이나 창고, 형무소 등에 구금했다가 군·경이 후퇴하면서 집단사살했다.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는 보도연맹 희생자 4934명을 확인했지만, 당시 연맹원 규모가 30만명에 달해 실제 희생 규모는 더 컸을 것으로 추정했다. 각 군 단위로 적게는 100명, 많게는 1000여명이 살해됐다. 경찰과 육군본부 정보국(CIC)이 계획적으로 학살을 주도했지만, 법적 근거나 규정은 없었다. 북한에 동조할 우려가 있다는 ‘혐의’만 있을 뿐이었다.

북한 인민군도 마찬가지였다. 점령했던 모든 지역에서 집단 학살을 감행했다. 9월15일 유엔군의 인천상륙으로 전세가 불리해지자 군인, 경찰, 대한청년단, 지역 유지, 우익 협조자 등을 집단 학살했는가 하면 창고에 감금한 채 불을 지르기도 했다.

서울이 수복(9월28일)된 이후 이번에는 인민군 통치기간에 협력한 부역자가 목숨을 잃었다. 재판 절차가 없어서 지역 주민들이 사적 감정이나 보복 차원에서 살해한 경우도 많았다.

정은주기자 ejung@seoul.co.kr
2010-06-25 3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