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58개띠, 세상을 바꾼다] ‘베이비 부머’ 과거와 미래

[58개띠, 세상을 바꾼다] ‘베이비 부머’ 과거와 미래

입력 2011-07-18 00:00
업데이트 2011-07-18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경제성장·IMF’ 영욕의 발자취 걸어온 세대…강한 응집력으로 정년연장 등 ‘사회 파워’ 기대

“경제 성장과 IMF사태란 영욕을 함께 맛보며 운명을 개척해온 이들이기 때문에 앞으로 위기를 어떻게 돌파할 것인지가 후배 베이비 부머들에게 하나의 선례가 될 것이다.” 오영훈 라이프커리어 전략연구소 소장은 58년 개띠를 주목해야 하는 이유를 이렇게 설명했다. 회사원 강모(51)씨는 “정부나 사회가 이들의 숫자가 갖는 힘과 후배들에게 미치는 영향력을 감안해 정년 연장 등에 전향적으로 나설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58년 개띠인 임영빈 바른몸 상무는 그러나 “현실적으로 정부가 정책적으로 배려할 수 있는 게 그리 많지 않은 것 같다.”며 “다만 응집력 강한 또래가 시민단체 같은 것을 만들어 정부나 사회에 압력을 가한다면 종전 세대와 다른 차원이 될 것”이라고 조심스럽게 내다봤다.

●세상을 바꿀 것이란 기대 적지 않아

1955년부터 1963년까지 9년 동안 태어난 베이비 부머는 지난해 712만명으로 추산돼 전체 인구의 14.6%에 이른다. 65세 이상 노년 인구의 비중(11.3%)을 뛰어넘어 정치적 파워까지 갖춘 셈이다. 내년 총선과 대통령 선거에서 무시할 수 없는 힘을 지닌다는 분석이 58년 개띠들을 부추기는(?) 측면도 없지 않다.

이삼식 보건사회연구원 저출산고령화실장은 “노동시장에 많은 인구가 유입되고 머무르는 과도기임에 틀림없고 이들이 55세에 퇴직하면 65세부터 국민연금을 수령하기 때문에 10년의 갭이 생기는데 정부는 청년 실업 등이 겹쳐 현실적으로 이들을 부축할 수단이 부족하다.”고 설명했다.

특히 고교나 대학에 다니는 자녀 부양에 상당한 지출을 감수해야 하는 시기에 퇴직 하는 점 때문에 이들의 응집 가능성을 높이 보는 시각도 있다. 정경희 보건사회연구원 연구위원은 58년 개띠들이 치열한 경쟁을 뚫고 성장해 “뭐든지 할 수 있다는 자신감도 있지만 반대로 정부나 사회가 적절한 도움을 제공하지 못할 때 상대적 박탈감을 더 크게 느낄 수 있어 종전 노년 세대와 달리 사회적 갈등을 일으킬 수 있는 첫 세대”라고 내다보면서도 “얼마나 응집력 있게 압력을 행사할 수 있는지는 예단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정부 부처와 여러 연구기관에서도 베이비 부머의 사회적 압력에 대한 논의를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다.

국무조정실, 청와대 등에도 이들 새로운 노년 세대의 대두에 대비한 논의를 진행 중이다. 노길준 고용노동부 고령사회인력정책팀 과장은 “현재 노동시장 상황을 볼 때 정년 연장 의무화는 시기상조이며 실질적인 고용 연장을 모색하는 쪽으로 결론이 난 것”이라며 “이전 세대보다 사회참여 욕구도 많고 정치 지향적이며, 자산소득도 있고 대기업 및 공공기관 등 안정된 직장에 소속된 경우가 많다.”며 “이들만을 겨냥한 정책을 펴기에는 이전 세대와의 형평성, 청년실업과 상충되는 점 때문에 뚜렷한 해결책을 찾기가 쉽지 않다.”고 말했다.

●일자리보다 새로운 노년 준비하는 쪽으로

보건복지부 정책 담당자와 전문가들로 구성된 ‘베이비붐 세대 미래구상포럼’은 지난 1월부터 매월 문제의식을 공유하는 포럼을 개최, 다양한 주제에 대한 의견을 나누고 있다. 정경희 연구위원은 “노동시장에서 문제들이 선결된다는 전제에서 58년 개띠 중에도 전문직, 상대적으로 여유있는 직장을 가졌고 경제적 여유가 있는 분들이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기회를 다양하게 만들어 주는 방향으로 논의의 가닥을 잡고 있다.”고 덧붙였다.

임 상무처럼 ‘피부로 느끼는 뭔가‘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지적에 대해선 “지금까지 어느 연령 이상에 기초노령연금을 제공하는 것 같은 획일적 시책을 시행하기는 어렵다.”며 “앞으로는 조근조근하고 밀착형 사회복지 서비스로 패러다임이 변할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 5일 전라남도와 경기도에서 700명의 청년과 ‘시니어’들이 참여해 발족된 ‘코리아 핸즈’도 베이비 부머의 사회적 경륜을 지역사회에 결합시키는 노후 프로그램으로 주목된다.

임병선기자 bsnim@seoul.co.kr
2011-07-18 36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