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한국형 창조경제 성공으로 가는 길-2부] <6> 한화 큐셀 말레이시아 공장을 가다

[한국형 창조경제 성공으로 가는 길-2부] <6> 한화 큐셀 말레이시아 공장을 가다

입력 2013-09-25 00:00
업데이트 2013-09-25 00: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원가 낮춘 ‘자동화’·품질 높인 ‘이력관리’… 태양전지, 빛을 보다

지난 12일(현지시간) 말레이시아의 수도 쿠알라룸푸르에서 남서쪽으로 33㎞쯤 떨어진 사이버자야의 한화큐셀 공장. 한화그룹이 독일로부터 큐셀을 인수한 지 1년 만에 공장 가동률을 20%에서 90% 이상으로 끌어올린 기적의 현장이다.

이미지 확대
지난 12일(현지시간) 말레이시아의 한화큐셀 생산 공장에서 한 현지인 엔지니어가 자동화 기기의 공정 과정을 모니터를 통해 확인하고 있다.
지난 12일(현지시간) 말레이시아의 한화큐셀 생산 공장에서 한 현지인 엔지니어가 자동화 기기의 공정 과정을 모니터를 통해 확인하고 있다.
이미지 확대
공장 1층에 설치된 고가의 복잡한 자동화 기계는 완제품 불량률 0.0025% 신화를 낳은 주인공이다.
공장 1층에 설치된 고가의 복잡한 자동화 기계는 완제품 불량률 0.0025% 신화를 낳은 주인공이다.
울창한 밀림을 밀어내고 조성된 산업단지에 들어서자 축구장 32개를 붙인 크기와 맞먹는 25만 4545㎡의 넓은 공장 부지가 드러난다. 그 중심에 있는 3층 높이의 공장에서 연간 900㎿의 셀(태양전지)이 생산된다. 태양광발전 부품 및 소재의 생산 공정은 ‘폴리실리콘-잉곳-웨이퍼-셀-모듈’로 이어진다.

이 공장의 큰 특징은 무인자동화와 생산이력관리. 1층은 웨이퍼를 검사하는 검수장이다. 총 8대의 대형 기계가 웨이퍼를 쉴 새 없이 골라내고, 천장에서는 반도체 공장에서나 볼 수 있는 150여대의 운송 기계가 레일을 따라 바삐 움직이며 웨이퍼를 나르고 있다. 마치 로봇들이 움직이는 듯하다.

검수를 마친 웨이퍼는 2층으로 옮겨져 표면에 전기가 잘 흐를 수 있도록 깎고 바르는 작업이 진행된다. 이 모든 과정에서 사람이 개입하는 건 거의 없다. 몇몇 작업자들이 터치스크린을 통해 공정 과정을 체크하고, 이상이 발생했을 때만 나설 뿐이다.

공장은 24시간 365일 돌면서 지난 1년간 2억장의 셀을 생산했다. 처음 웨이퍼가 공정에 투입되는 순간부터 한 장, 한 장에 대한 품질 추적관리가 자동화 시스템을 통해 진행되면서 완제품 불량률이 0.0025%로, 세계에서 독보적인 최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이미지 확대
공장 밖에는 생산라인의 추가 건설을 기다리고 있는 유휴 부지가 펼쳐져 있다. 이 부지는 2099년까지 무상 임대된 상태다.
공장 밖에는 생산라인의 추가 건설을 기다리고 있는 유휴 부지가 펼쳐져 있다. 이 부지는 2099년까지 무상 임대된 상태다.
한화큐셀 말레이시아 공장이 변신할 수 있었던 것은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 가장 중요한 것은 한화의 글로벌 네트워크 활용이다. 한화솔라원과 함께 원자재 공동구매, 판로 개척 등으로 원가를 대거 절감한 것이다.

로버트 바우어 기술담당 임원은 “한화그룹은 글로벌 기업이기 때문에 시너지가 난다”며 “또 다른 사업 기회도 많이 생기고 있다”고 말했다. 류성주 말레이시아 법인장은 “원가를 낮췄지만 수율(투입량 대비 완성품 비율)은 오히려 높였고, 제품력도 세계 최고 수준을 인정받고 있다”고 자평했다.

한화그룹의 시너지는 대규모 공급계약이 좋은 사례다. 지난해 8월 김승연 회장이 일본 종합상사인 마루베니사의 아사다 데루오 회장을 만나 4년간 500㎿의 모듈을 공급하기로 합의했다. 연산 규모를 따지면 엄청난 물량이다.

태양광업계 1위인 중국은 이런 작업이 대부분 반자동으로 운영된다. 값싼 임금의 중국인 근로자가 웨이퍼를 ‘손에 쥐고 머리에 이고 나른다’는 것이다.

한화큐셀 말레이시아 공장이 이런 중국을 위협하고 있다. 말레이시아의 더 저렴한 노동력과 독일의 첨단기술, 한화의 운영 능력 등 세 가지 조건이 합쳐지면서 셀 생산원가는 이미 중국 공장 수준에 다다랐다.

셀의 생산가격은 인수 당시인 지난해 10월과 비교해 53%나 줄었다. 이로써 한화그룹의 셀 생산능력은 기존의 한화솔라원 중국 공장의 1300㎿와 한화큐셀 독일 공장의 200㎿에다 말레이시아 공장의 900㎿를 합쳐 총 2400㎿로 세계 3위에 이른다.

현재 말레이시아 공장 부지 중 19만㎡가 유휴 부지로 남아 있다. 한화큐셀은 이곳에 셀, 모듈 등 제조 라인을 더 건설할 방침이지만, 아직 투자계획을 확정하지 못하고 있다.

글 사진 사이버자야(말레이시아) 김경운 기자

kkwoon@seoul.co.kr

2013-09-25 6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