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박영선 퇴진’ 외치던 女의원, 막상 돌아오자…

‘박영선 퇴진’ 외치던 女의원, 막상 돌아오자…

입력 2014-09-21 00:00
업데이트 2014-09-21 13:5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세월호법 협상 꿈틀…박영선, 원내대표직 어떡할까

새정치민주연합이 ‘문희상 비상대책위 체제’로 재편되면서 박영선 원내대표의 거취와 역할이 재삼 주목된다.

특히 박 원내대표가 비대위원장직을 넘긴 만큼 남은 원내대표직을 언제, 어떻게 마무리할지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문희상(왼쪽) 신임 새정치민주연합 비상대책위원장이 19일 국회에서 열린 당 소속 광역단체장 및 전·현직시도위원장 합동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오른쪽은 박영선 원내대표. 이종원 선임기자 jongwon@seoul.co.kr
문희상(왼쪽) 신임 새정치민주연합 비상대책위원장이 19일 국회에서 열린 당 소속 광역단체장 및 전·현직시도위원장 합동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오른쪽은 박영선 원내대표.
이종원 선임기자 jongwon@seoul.co.kr
지난 16일 의원 전수조사 때 ‘원내대표직은 세월호특별법 수습을 위한 마지막 노력을 한 후 그 결과에 관련 없이 사퇴한다’는 문항이 있었으나 박 원내대표는 17일 기자회견에서 명확한 사퇴 시점을 언급하지 않았다.

이 때문에 당내 강경파 일각에선 “구체적인 사퇴시점을 밝혀라”, “당장 물러나야 한다”며 박 원내대표를 계속 압박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그러나 문 위원장이 취임한 후 당내에서는 박 원내대표 즉각 사퇴 주장은 꼬리를 내리고, 당분간 박 원내대표에게 힘을 실어주자는 여론에 점차 무게가 실리고 있다.

문 위원장이 세월호특별법 우선 해결 의지를 피력하면서 이르면 22일께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와의 회동을 추진키로 한 것이 커다란 지지대가 됐다.

세월호법 협상이 지금처럼 계속 멈춰서 있다면 새로운 협상대표가 나서야겠지만 문 위원장이 여야 대표회동을 통해 협상의 돌파구를 열면 박 원내대표가 협상테이블에 계속 앉아야 되지 않겠느냐는 것이다.

문 위원장은 연합뉴스와의 인터뷰에서 “(박 원내대표가) 그만둬도 난 (비대위원으로) 모시고 싶지만, 원내대표는 당연히 비대위 멤버”라며 호의적인 의사를 밝혔다. 결과적으로 비등하던 사퇴론에 김을 뺀 셈이 됐다.

원내대표직 사퇴 요구에 동참했던 최민희 의원은 최근 트위터에 “이상돈 영입을 접고, 탈당 파동을 사과하며, 최선을 다해 세월호 협상을 마무리하고 사퇴하겠다는 분을 기회도 안 주고 못 믿겠다며 내치란 말인가”라며 태도를 바꿨다.

이 때문에 여야간 세월호법 협상 돌파구가 열리더라도 협상이 장기화되면 박 원내대표가 원내지휘봉을 계속 잡게 될 것이라는 관측까지 나오고 있다. 협상이 연말까지 길어져 박 원내대표의 지휘 아래 정기국회를 마칠 가능성까지 거론된다.

박 원내대표도 당장 물러나기보다 ‘명예로운 퇴진’을 희망한다는 관측이 설득력있게 제기되고 있다.

박 원내대표가 지난 18일 비대위원장 추천을 위한 원로중진연석회의에서 그간 10여명의 비대위원장 후보와 접촉하고 당내 중진과 상의하는 등의 노력을 기울인 점을 적극 설명하고 ‘연판장을 돌리는 문화는 없어져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인 것이 그 근거로 꼽힌다.

또 당시 박 원내대표가 원로, 중진들에게 비대위원 후보를 추천해줄 것을 요청했다가 ‘월권이 아니냐’는 지적을 당한 점도 자진사퇴하려는 태도로 보기 어렵다는 주장이다.

이에 대해 박 원내대표 측 관계자는 21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특별법이 마무리되면 물러난다는 생각에 변함이 없다. 곧 타결하든지, 아니면 장기과제로 넘기든지 등 어떤 식으로 마무리할지가 정해지지 않은 것”이라고 말했다.

또다른 관계자도 “특별법을 마무리해야 한다는 원내대표로서의 책무가 책임감이 아닌 꼼수로 비쳐져서는 안 될 것”이라면서 “해야 할 의무는 하고, 거취는 담담하게 생각하고 있다”고 반박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