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한·중 정상 새달 만난다… 한·중·일 릴레이 정상회담 불붙나

한·중 정상 새달 만난다… 한·중·일 릴레이 정상회담 불붙나

입력 2014-10-22 00:00
업데이트 2014-10-22 04:1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중·일 연쇄접촉… 동북아 정세 급류

다음달 중국 베이징에서 열리는 ‘제21차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에서 박근혜 대통령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정상회담을 갖게 될 것이라고 21일 탕자쉬안(唐家璇) 전 중국 외교담당 국무위원이 밝혔다. 두 정상간 공식회담으로는 다섯 번째다. 한·중 정상회담이 사실상 확정됨에 따라 한·일, 중·일 회담 등 동북아 3국 간의 릴레이 정상회담이 성사될지 주목된다.

이미지 확대
박근혜 대통령이 21일 청와대를 방문한 탕자쉬안 전 중국 외교담당 국무위원을 만나 악수하고 있다.  이호정 기자 hojeong@seoul.co.kr
박근혜 대통령이 21일 청와대를 방문한 탕자쉬안 전 중국 외교담당 국무위원을 만나 악수하고 있다.
이호정 기자 hojeong@seoul.co.kr
이미지 확대
윤병세(오른쪽) 외교부 장관이 21일 서울 종로구 세종로 정부서울청사 별관에서 방한한 야치 쇼타로 일본 국가안전보장회의 국장을 접견하고 있다. 야치 국장은 아베 신조 일본 총리의 최측근 외교 책사로 알려져 있다.  이호정 기자 hojeong@seoul.co.kr
윤병세(오른쪽) 외교부 장관이 21일 서울 종로구 세종로 정부서울청사 별관에서 방한한 야치 쇼타로 일본 국가안전보장회의 국장을 접견하고 있다. 야치 국장은 아베 신조 일본 총리의 최측근 외교 책사로 알려져 있다.
이호정 기자 hojeong@seoul.co.kr
이런 가운데 김관진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은 이날 방한한 야치 쇼타로 일본 국가안전보장회의 국장과 면담을 갖고 양국 간 현안을 논의했다. 일본의 집단적 자위권 행사와 관련한 협의가 이뤄졌으며 한반도, 동북아 및 국제 정세 등 전략적 사안에 대해 협의하고 양국 간 외교·안보 분야 및 상호 관심사에 대해서도 의견을 교환한 것으로 전해졌다. 야치 국장이 아베 신조 일본 총리의 외교 책사인 만큼 한·일 정상회담 개최를 위한 논의도 진행된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3국 간 정상회담이 이어진다면 APEC을 계기로 동북아 정세는 상당한 변화를 수반할 것으로 예상된다. 윤병세 외교부 장관은 야치 국장과의 개별 면담에서 “박근혜 정부 들어 한·일 관계의 안정적 발전을 위해 나름대로 노력해 왔지만 역사와 과거사 문제로 인해 장애가 초래되고 있어 안타깝다”며 과거사의 핵심 현안인 위안부 문제의 조속한 해결 필요성을 강조했다.

한편 탕 전 위원은 이날 박 대통령을 예방하고 “며칠 전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박 대통령과 리커창(李克强) 총리가 성공적 회동을 가진 것이 중국 언론에 크게 보도됐다”고 전하며 “박 대통령께서는 존경을 많이 받는 귀한 손님, 중국 국민들에게 친근감을 많이 주신 친구로 우리 중국에서 대통령님을 모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라고 치켜세웠다. 또한 탕 전 위원은 “청와대로 이동하는 차에서도 세어 봤더니 금번 포함, 대통령님과 7번이나 만났다”며 박 대통령과의 인연을 과시했다. 박 대통령은 한나라당 대표 시절이던 2005년 북핵 위기 속에서 중국을 방문했을 때를 시작으로 탕 전 위원과 그동안 6차례 만났고, 북한 문제를 심도 있게 논의하면서 깊은 인연을 이어 왔다.

외교가에서는 탕 전 위원의 이 같은 이력이나 박 대통령과의 개인적인 친분을 고려할 때 이날 접견에서 북한 관련 문제가 심도 있게 논의됐을 것으로 보고 있다. 탕 전 위원은 과거 김정일 국방위원장 시절 북한에 가장 자주 방문한 중국의 최고위급 외교 인사 가운데 한 명이어서 북한 문제에도 정통하다.

이지운 기자 jj@seoul.co.kr

2014-10-22 3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