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현장 블로그] 일류 서울대 노동 인권은 삼류

[현장 블로그] 일류 서울대 노동 인권은 삼류

이슬기 기자
입력 2015-08-27 23:52
업데이트 2015-08-28 14:0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계란으로 바위치기하면 다치는 건 본인이에요. 여기(서울대)는 안 다쳐요.”

서울대 국제대학원에서 2년째 기간제 직원으로 일해 온 정모(29·여)씨. 8월 말 계약 종료를 앞두고 무기계약직 전환만을 기다리고 있던 정씨는 지난 6월 느닷없는 이메일 한 통으로 해고 통보를 받았습니다. 이유를 따져 묻자 학교 측 인사는 조금이라도 미안해하기는커녕 정씨를 ‘계란’에, 학교를 ‘바위’에 비유하며 고압적인 태도를 보였다고 합니다. “유급 휴가를 줄 테니 출근하지 말라”는 통보에도 불구하고 정씨가 계속 자리를 지키자 학교 측은 지난 7월 말 정씨 책상의 컴퓨터를 치워버렸습니다.

서울대 최초로 중앙노동위원회로부터 ‘비정규직 차별 인정’을 받아 낸 서울대 미술관 기간제 비서 박수정(26·여)씨. 박씨는 정규직 직원들과 같은 일을 하고 있었지만, 박봉에 시달린 것은 물론이고 복지 혜택도 전혀 받지 못했습니다. 교내 인권센터를 방문했지만, 돌아온 것은 “왜 그런 데를 찾아갔느냐”는 비아냥이었습니다.

박씨와 정씨가 한결같이 하는 말은 “다른 데라면 혹시 몰라도 서울대가 정말 이럴 줄은 몰랐다”는 것이었습니다. 두 사람 다 어렵게 구한 직장에, ‘서울대’라는 타이틀 하나로 주변의 부러움 어린 시선을 한 몸에 받으며 출근했다고 합니다.

‘국내 최고 상아탑’이라는 수식어를 늘 달고 다니는 서울대가 비정규직의 노동인권에는 전혀 그렇지 못한 모습을 보여 비난을 받고 있습니다. 국립대 31곳 중 무기 계약직 전환율이 최하위 수준인 28위(21.3%)에 그치고 있는 사실이 이를 잘 말해 줍니다.

서울대 비정규직들은 지난해 말 비정규직 노조를 만들었습니다. 총학생회와 함께하는 ‘서울대 비정규직 문제 해결을 위한 공동대책위원회’도 발족했습니다. 서로의 사정을 몰랐던 비정규직들이 모여 아픔을 나누고 공감하는 중입니다. 수많은 계란들이 모인 앞에서도 바위는 마냥 굳건하기만 할까요. 서울대 비정규직 ‘계란’들의 ‘바위’ 깨기는 이제 막 시작입니다.

이슬기 기자 seulgi@seoul.co.kr

조용철 기자 cyc0305@seoul.co.kr
2015-08-28 8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