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이호준 시간여행] 보리밭에서 희망을 보다

[이호준 시간여행] 보리밭에서 희망을 보다

입력 2016-01-12 23:52
업데이트 2016-01-13 00:5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이호준 시인·여행작가
이호준 시인·여행작가
남도로 가는 길. 기어이 길가에 차를 세운다. 황토도 지쳐 회색으로 바래 가는 계절, 들판에는 푸른 보리만 청청하다. 그 생명의 손짓에 결국 지고 말았다. 10월에 파종하는 가을보리는 모든 초목이 쉼표를 찍을 때가 돼서야 싹을 틔운다. 작지만 푸른 잎을 조금씩 밀어 올려 허공에 길을 내고 존재를 알린다.

계절은 보리의 생장을 따라 오고 간다. 추위가 물러가는 해토머리쯤이면 저 작은 싹들이 키를 키워 바람에 일렁거릴 것이다. 보리밭에는 고단했던, 그러나 결코 희망을 놓지 않았던 민초들의 삶이 배어 있다. 시간의 힘으로도 박제되지 않는 기억들이 순서도 없이 재생된다. 보리밭 사이에는 종달새를 쫓는 소년이, 밭둑에는 나물 캐는 누이들이 있다. 누이들은 진달래보다 아름다웠다.

활동사진처럼 스쳐 가는 단어마다 얼마나 많은 이야기가 들어 있는지. 보릿대를 뽑아 보리피리를 만들어 불고 깜부기로 서로의 얼굴에 수염을 그리며 깔깔거리고…. 사내아이들은 보리가 채 익기도 전에 서리에 나섰다. 보리가 아이들 가슴만큼 자라면 소문도 키를 키웠다. ‘처녀 총각 누구누구가 보리밭에서 나오더라….’ 머지않아 마을에 혼사가 있을 거라는 예고였다.

빛과 그림자로 직조되는 삶에 어찌 아름다운 기억만 있을까. 하루 종일 들과 산을 뒤지고 다녀도 배고프던 시절이었다. 기어이 눈물 흥건한 단어 하나가 툭 튀어나온다. 보릿고개…. 갈무리했던 양식이 모두 떨어져 얼굴이 누렇게 뜰 무렵이면 보리가 조금씩 익어 갔다. 그 기다림은 얼마나 길고 고달팠던지. 그래도 웃음을 잃지 않았던 건 스스로 희망을 파종하고 인내할 줄 알았기 때문이었다.

요즘은 농촌에 가도 보리밭을 보기 쉽지 않다. 보리밭 사이를 달리던 아이들도 나물을 캐던 누이도 없다. 수십 년 사이에 풍경 한 장이 고스란히 사라져 버린 것이다. 그 풍경을 따라서 긴 세월 켜켜이 쌓인 사연도 가난 속에서도 서로 보듬을 줄 알던 정도 떠났다. 시간을 거꾸로 돌리지 않는 한 다시는 볼 수 없는 것들이다.

추억을 더듬던 시선이 다시 보리밭에 머문다. 혹독한 겨울을 견디지 않고는 결코 보리로 완성될 수 없는 어린 싹들이 눈앞에 있다. 이들은 고난을 어떻게 이겨야 하는지 알고 있다. 잎들은 서로에게 기대고 뿌리들은 어깨를 겯고 한겨울을 난다.

보리밭에 우리 청년들의 얼굴이 겹쳐진다. 그들 역시 혹독한 시절을 지나고 있다. 쏟아지는 유행어에서 그들이 짊어진 절망을 읽을 수 있다. ‘흙수저’라는 단어에서 상대적 박탈감의 크기를 어림해 본다. 희망 없는 현실을 풍자하는 ‘헬조선’이나 ‘둠조선’은 또 얼마나 가슴 저리게 하는지. 난무하는 신조어는 불안한 사회를 반영한다. 취업률은 여전히 바닥이고, 부의 양극화는 갈수록 심해지고, 절망한 젊은이들은 결혼을 미루거나 아이 낳는 것을 포기한다.

청년들에게 무조건 시련을 견디라고 큰소리칠 염치는 없다. 좋은 환경을 물려주지 못한 것 역시 먼저 살아온 어른들의 잘못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한겨울을 견디는 보리에게서 의지를 배우라는 말은 하고 싶다. 희망을 품고 도전하는 이에게는 아무리 큰 시련도 영원히 머물지 않는다. 불만을 터트리기보다는 스스로 문을 열고 바람 앞에 서야 한다. 인내와 용기가 곧 희망이다. 여리게 흔들리는 보리 싹에서 성급하게 봄기운을 캐낸다.
2016-01-13 30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