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서동철 기자의 문화유산 이야기] 백제 미륵사터 석탑, 신라 선화공주 덕에 살아남았다?

[서동철 기자의 문화유산 이야기] 백제 미륵사터 석탑, 신라 선화공주 덕에 살아남았다?

서동철 기자
서동철 기자
입력 2016-09-09 17:48
업데이트 2016-09-12 09: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백제 석탑과 선화공주

오늘은 좀 엉뚱해 보일지도 모를 상상을 하나 해보려 한다. 선화공주와 서동, 곧 백제 무왕(재위 600~641)에 얽힌 설화를 떠올려 본다. 무왕이 향가 ‘서동요’를 지어 신라의 선화공주를 왕비로 맞았다는 ‘삼국유사’ 내용은 모르는 사람이 없다. 그런데 선화공주 설화는 2009년 익산 미륵사터 서탑에서 사리장엄구가 출토되면서 결정적 위기를 맞는다. ‘탑을 발원한 무왕의 왕후는 좌평 사택적덕의 딸’이라는 발원문이 새겨져 있었기 때문이다.

선화공주 설화는 우리 문화사를 풍요롭게 하는데 단단히 한몫을 했다. 그런데 희대의 거짓말로 판명되며 하루아침에 없었던 일이 되어버릴 판이었다. 고고학적 증거에 할 말을 잊었던 학계는 시간이 흐르면서 조금씩 정신을 차리고는 ‘그렇다고 선화공주 설화가 사실이 아니라는 증거는 아니다’는 주장을 내놓기 시작했다. 예를 들어 사택적덕의 딸은 선화공주 사후 간택된 계비일 수도 있다는 것이었다.

이미지 확대
부여 정림사터 오층석탑. 문화재청 제공
부여 정림사터 오층석탑.
문화재청 제공
이미지 확대
해체 보수 이전의 익산 미륵사터 서탑. 문화재청 제공
해체 보수 이전의 익산 미륵사터 서탑.
문화재청 제공
이미지 확대
익산 왕궁리 오층석탑. 남아 있는 백제시대 석탑은 이 셋뿐이다. 문화재청 제공
익산 왕궁리 오층석탑. 남아 있는 백제시대 석탑은 이 셋뿐이다.
문화재청 제공
●파괴되지 않고 아직 남아있는 백제 석탑은 세 개뿐

이야기를 익산 미륵사 탑에서 부여 정림사 탑으로 돌려본다. 현재까지 남아 있는 백제시대 석탑은 정림사 오층석탑과 미륵사 서탑, 그리고 익산 왕궁리 오층석탑뿐이다. 왕궁리 석탑의 경우, ‘백제 석탑의 영향을 받은 고려시대 석탑’으로 알려지다 최근에야 백제 석탑으로 공인받기 시작했다. 극소수 백제 석탑만이 남아 있다는 것은 의도적 파괴의 결과라 할 수 있다.

사비, 곧 오늘날의 부여는 나당연합군에 점령된 이후 흔적을 찾기 어려울 만큼 철저하게 파괴됐다. 그런데 도성 중심에 정림사터 오층석탑만이 유일하다시피 제모습을 유지하며 남아 있으니 매우 이례적이다. 이 탑에는 잘 알려진 것처럼 당나라 장수 소정방의 이른바 ‘평제비문’(平濟碑文)이 새겨져 있다. 사실상 백제 주민들에게 ‘반역을 꿈꾸지 말라’는 경고문이다. 이 같은 정치적 메시지가 담겨 있지 않았다면 정림사탑도 남아나지 못했을 것이다.

정림사터는 백제시대나 지금이나 부여 시가지의 한복판이다. 성왕은 웅진에서 사비로 도읍을 옮기면서 도성 내부를 중앙과 동·서·남·북의 5부로 가르고 주거지를 조성했다. 성왕의 도시 계획에는 사찰도 포함됐는데, 정림사는 사비에서도 가장 중요한 위치에 자리잡았다. 소정방이 백제인들에게 정치적인 메시지를 효과적으로 전할 수 있는 수단으로 정림사탑을 선택한 것도 이 때문이었다. 이렇게 정림사 탑에는 백제의 멸망과 통일신라의 옛 백제 땅 통치에 따른 정치적 상징성이 일찌감치 부여됐다. 백제계 주민들에게 정림사 탑이란 곧 멸망한 왕조에 대한 향수를 자극하는 상징물이나 다름없었다. 새로운 통치자에게 정림사 탑이란 백제계 주민들에게 반정부 의식을 일깨우는 불온한 상징물이었다. 정림사 탑의 정치적 성격은 이후의 이른바 백제계 석탑에 막강한 영향력을 미친다.

오늘날 백제계라 부르는 석탑은 부여 장하리 삼층석탑과 서천 비인 오층석탑, 정읍 은선리 삼층석탑, 강진 월남사터 삼층석탑 등 10개 남짓 남아 있다. 백제의 옛 땅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그것도 한결같이 통일신라 시대가 아닌 후삼국 시대 이후 세워졌다는 것은 매우 흥미롭다. 후삼국 시대 백제계 석탑이란 유행이 수백년이나 지난 ‘구식 모델’이었기 때문이다.

●통일신라시대 백제계 석탑 건립은 곧 ‘반국가 활동’

역사학계는 통일신라의 옛 백제땅에 대한 지배정책이 매우 완고하여, 백제계 석탑의 건립조차 불온시되는 분위기 때문이었을 것이라고 짐작한다. 불국토(佛國土)를 표방한 통일신라에서 석탑이 갖는 대중적 영향력은 엄청났을 것이다. 그런 마당에 백제계 석탑을 세우는 것은 백제계 주민들의 추억을 자극하는 ‘반국가 활동’이나 마찬가지였다는 것이다. 백제 시대 익산의 위상이 아직 뚜렷하게 밝혀지지는 않은 것 같다. 하지만 왕궁리 유적과 미륵사의 존재 등으로 미루어 도읍에 버금가는 중요성이 있는 도시였음은 분명하다. 그렇다면 나당연합군, 그리고 이후 통일신라 점령군은 익산의 백제 관련 흔적 역시 부여처럼 남김없이 지우려 했을 것으로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그럼에도 미륵사터 석탑은 백제 멸망 이후에도 건재했다. 아마도 백제 왕궁의 수호 사찰에 세워졌을 왕궁리 석탑 역시 마찬가지였다. 두 탑 모두 정림사 탑에 버금가거나, 오히려 정림사 탑을 뛰어넘는 정치적 상징성이 담겨 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었을 것이다. 그 정치적 상징성이 선화공주와 연관될 수도 있다고 본다. 신라군이 신라 공주가 발원했다는 사실이 당시에도 널리 알려졌을 미륵사와 왕궁리 절을 파괴할 수는 없는 노릇 아닌가.

dcsuh@seoul.co.kr
2016-09-10 20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