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뉴스 분석] ‘물갈이 카드’ 꺼낸 김병원, 금융계열사도 손댈까

[뉴스 분석] ‘물갈이 카드’ 꺼낸 김병원, 금융계열사도 손댈까

이유미 기자
입력 2016-10-25 22:24
업데이트 2016-10-26 09: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농협 ‘인적쇄신’ 바람

前회장 ‘최원병 색깔 빼기’
오늘 임추위… 후임 인선 착수
농협생보·손보 사장 교체 가능성
이경섭·김원규 향후 거취 관심


이미지 확대
김용환(앞줄 왼쪽) 농협금융지주 회장이 이경섭(앞줄 오른쪽) 농협은행장과 함께 25일 서울 중구 농협 본관 대강당에서 불우이웃에게 전달할 농산물 꾸러미를 싸고 있다. 김 회장 뒤는 이윤배 농협손해보험 사장, 이 행장 뒤는 김원규 NH투자증권 사장이다. 농협은 CEO 대거 물갈이로 하루 종일 뒤숭숭했다. NH농협금융 제공
김용환(앞줄 왼쪽) 농협금융지주 회장이 이경섭(앞줄 오른쪽) 농협은행장과 함께 25일 서울 중구 농협 본관 대강당에서 불우이웃에게 전달할 농산물 꾸러미를 싸고 있다. 김 회장 뒤는 이윤배 농협손해보험 사장, 이 행장 뒤는 김원규 NH투자증권 사장이다. 농협은 CEO 대거 물갈이로 하루 종일 뒤숭숭했다.
NH농협금융 제공
농협중앙회가 계열사 최고경영자(CEO)들을 대거 물갈이하면서 그 배경과 후임 인선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물갈이가 금융 계열사로도 이어질지 관심사다.

25일 금융권에 따르면 8년 절치부심하던 김병원 농협중앙회장이 칼을 빼들었다는 게 농협 안팎의 시선이다. 김 회장은 지난 8년간 세 번 중앙회장 선거에 출마해 ‘삼수’ 끝에 올해 2월 당선됐다. 농협 사정에 정통한 관계자는 “(사전 선거운동 혐의로) 김 회장에 대한 검찰 조사가 진행 중이던 터라 취임 이후 반년 넘게 인사가 미뤄졌다”며 “당초 (검찰의 불구속 기소가 확정된) 7월 초에 진행하려던 인사 카드를 이제야 꺼내든 것”이라고 말했다.

김 회장은 전날 사표를 수리한 김정식 농협중앙회 부회장(전무), 이상욱 농업경제 대표, 허식 상호금융 대표 외에도 농협중앙회 상무급 이상 임원들에게서 사퇴서를 받아 놓은 상태다. 농협은행부행장 10명도 사표를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부회장과 이 대표 등은 모두 최원병 전임 회장이 선임한 인물이다. ‘최원병 색깔 빼기’라는 분석이 나오는 이유다.

임원추천위원회는 26일 구성된다. 후임 인선이 본격적으로 다뤄지게 된다. 농협 2인자인 부회장에는 이번에 퇴임한 허 대표 등 전현직 임원의 이름이 오르내린다. 올해 2월 김 회장이 결선투표(2차 투표)까지 가는 접전 끝에 당선되는 데 표를 보탰던 경남 지역 ‘보은 인사’가 이뤄질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눈길을 끄는 대목은 김 회장이 금융 계열사 CEO는 사실상 손을 대지 않았다는 점이다. 실질적인 대주주는 농협중앙회이지만 형식상으로는 김용환 농협금융지주 회장이 버티고 있기 때문에 모양새를 갖춘 것으로 보는 시선이 있다. 김 회장과의 ‘조율’을 거쳐 몇몇 CEO는 교체할 것이라는 얘기다. 김용복 농협생명보험 사장과 이윤배 농협손해보험 사장의 교체설에 힘이 실리는 양상이다.

이경섭 농협은행장에 대해서는 관측이 팽팽히 엇갈린다. 이 행장은 지난 24일 일부 직원들에게 “내 사임과 관련해서 전혀 얘기 들은 바 없다”고 휴대전화 문자메시지를 보냈다.

이번 물갈이가 김재수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의 ‘황제 대출’ 논란을 불식시키기 위한 인적 쇄신 성격도 있다고 보는 측은 이 행장 책임론을 거론한다. 이 행장과 김 장관은 경북대 경제학과 1년 선후배 사이다. 대출이 이뤄진 시점에 이 행장은 농협금융지주 소속이었다. 그럼에도 두 사람의 사적 인연을 들어 뒷말이 무성하다. 이 행장 측은 “대출 라인이 아니었다”며 펄쩍 뛴다.

이 행장과 함께 김원규 NH투자증권 사장(경북대 경영학과)은 농협 내 대표적인 ‘경북대 라인’이다. 김 사장은 이번 일괄 사퇴서 제출 대상에서 유일하게 제외됐다. 농협중앙회 측은 “조직 안정 차원의 인사”라며 이런저런 확대 해석을 경계했다.

이유미 기자 yium@seoul.co.kr

백민경 기자 white@seoul.co.kr
2016-10-26 22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