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문화마당] 쇼는 계속되어야 한다/정재왈 안양문화예술재단 대표

[문화마당] 쇼는 계속되어야 한다/정재왈 안양문화예술재단 대표

입력 2016-11-23 18:14
업데이트 2016-11-23 18:3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첫 직장이었던 언론사부터 문화예술로 밥을 먹고산 지 제법 됐다. 그동안 이 판에서 만난 사람도 많고 개중에 출세의 길을 걷는 사람도 여럿 봤다. 다채로운 문화예술의 변화상과 사건도 수없이 접했다. 그런데도 ‘문화계 황태자의 농단’으로 요약되는 최근 사건은 그간 경험에 비춰 매우 독특하고 광범위해서 당혹스럽다. “이런 걸 보려고 이 판을 사랑했던가, 자괴감이 든다.”

정재왈 안양문화예술재단 대표
정재왈 안양문화예술재단 대표
문화예술이 그렇게 만만했던가! 하루아침에 영문도 모른 채 받아 드려야 하는 이런 자괴감과 상실감, 허탈감은 나뿐만 아닌 것 같다. 작금 문화예술계에 퍼져 있는 ‘증후군’이기도 하다. 대개는 기가 막혀 말문을 닫고 상황을 주시한다지만 감쪽같이 속았다는 배신감에 몸서리치는 이도 적잖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말한다. “쇼는 계속되어야 한다”(The show must go on)고. 온갖 간난신고를 겪고 인생이란 쇼가 완성되듯이, 우리의 문화예술계도 이번 일을 계기로 환골탈태한다면 요번에 못 이룬 문화융성쯤은 언젠가 이룰 것이다. 문화융성이 별건가. 배를 두드릴 정도는 아니더라도 문화예술로 밥을 먹고사는 이가 많아지고, 각자 그걸 누리는 ‘저녁 있는 삶’이 있으면 족하다. 그게 결코 쉬운 여정은 아니란 걸 알았지만 기어코 해낼 자산을 우리는 충분히 갖고 있다.

다시 일어서야 한다. 문화예술계는 지금 겪고 있는 상실감과 좌절감, 모멸감을 빨리 털어버리고 시대의 주역으로 거듭나야 한다. 워낙 충격파가 커서, 그러려면 몇 가지 재생(再生) 과정이 필요한 것 같다. ‘황태자 농단’의 후유증 혹은 변종 바이러스랄까, 차마 입에 담지 못할 ‘부역자’ 운운하면서 도리어 내부로 적을 돌리는 구태의 반복 기미는 극히 우려스럽다. 하여 단계별 극복 프로그램이 요구된다.

우선 치유다. 요즘 유행하는 말로 문화예술계는 힐링이 필요하다. 늘 문화예술은 사회적인 치유의 주체로서 인정을 받고 그걸 숙명인 양 여겨 왔다. 헐값의 ‘열정 페이’를 당연시하는 문화 속에서 혹사가 만연하다. 겉은 화려해 보이나 종사자의 내면은 병이 깊다는 이야기다. 문화산업이니 문화융성이니 하면서 이런 풍조는 더욱 강화됐다.

다음은 신뢰다. 무너진 신뢰를 회복하는 일이다. 이번 사건을 겪으면서 사회가 문화예술을 극단적으로 바라보는 신뢰의 붕괴도 문제지만, 문화예술계 내부의 신뢰를 되찾는 게 급선무다. 사건 연루자를 색출하듯 서로 의심하며 경계하는 풍토가 엿보인다. 얼마 전 누군가로부터 “나는 이번 사건의 네트워크와 관련 없다”는 식의 고백성 문자를 받고 충격을 받았다.

또한 균형이다. 이건 문화정책 차원의 균형감이다. 이번 사건으로 문화예술을 구성하는 두 축, 즉 콘텐츠 분야와 순수 문화예술 분야의 균형감 상실의 부작용이 적나라하게 드러났다. 문화융성을 문화산업과 동일시하면서 기초가 되는 문화예술을 거의 백안시했다. 융성의 본말이 바뀐 탓이다. 그러는 사이 문화콘텐츠산업은 장사치 놀이터가 됐다. 순수 문화예술계의 상실감이 그래서 이리 큰 것이다.

이젠 ‘황태자 이후’를 준비해야 할 때다. 그것은 비전을 세우고 새롭게 출발하는 일이다. 정책 주체인 문화체육관광부부터 빨리 중심을 잡아야 한다. 정책 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 속성상 얼른 정상을 찾아야 할 곳이 이곳이다. 그래야 현장은 불안감을 딛고 일어설 수 있다. 쇼는 계속되어야 하니까.
2016-11-24 30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