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내 책상’ 없애는 김정태의 실험… ‘하나’에 스마트 더한다

‘내 책상’ 없애는 김정태의 실험… ‘하나’에 스마트 더한다

백민경 기자
백민경 기자
입력 2017-01-17 22:06
업데이트 2017-01-17 23: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하나금융 7월 금융권 최초 ‘스마트 오피스’ 전면 도입

“내 책상? 그런 건 다 잊어라.”

깨끗이 비어져 있는 책상(왼쪽). 그날그날 출근 순서에 따라 사용자가 달라진다. 하나금융이 참고 중인 한 기업의 ‘자율좌석 예약 시스템’. 모니터를 통해 예약 가능한 좌석 위치와 숫자를 확인할 수 있다. 하나금융 제공
깨끗이 비어져 있는 책상(왼쪽). 그날그날 출근 순서에 따라 사용자가 달라진다. 하나금융이 참고 중인 한 기업의 ‘자율좌석 예약 시스템’. 모니터를 통해 예약 가능한 좌석 위치와 숫자를 확인할 수 있다.
하나금융 제공
이미지 확대
김정태 하나금융그룹 회장이 ‘스마트 오피스’ 실험에 도전했다. 오는 7월 서울 을지로 신사옥 입주에 맞춰 사무실 문화를 획기적으로 바꾸겠다는 야심이다.

우선 야근자를 한 층에 몰고, 고정 책상도 없앤다. 140여개의 회의실도 한 층에 집중시킨다. 직급이나 부서 구분 없이 수평적·탈권위적 기업 문화를 유도하기 위해 업무 공간을 공유한다는 게 핵심이다. ‘어쩌다 쓰는’ 공간을 확 줄이는 만큼 비용 절감도 기대된다. 하나금융은 임차료, 집기 등을 절약해 최소 연간 50억원을 줄일 것으로 보고 있다.

●직급순 배치 탈피… 창의적 협업 기대

김 회장의 스마트 오피스 구상은 지난해 8월 시작됐다. 한 실무자가 “하나·외환은행 통합으로 인력이 증가한 만큼 공간 절약 방안이 필요하다”고 보고하자 김 회장은 “공간이 바뀌어야 사람이 바뀐다. 사람이 바뀌어야 조직과 시스템이 바뀐다. 다 뜯어고치라”고 주문했다고 한다.

새 사무 공간은 ‘공유’와 ‘소통’에 방점이 찍혀 있다. 우선 야근자를 부서 관계없이 ‘업무 집중층’으로 이동시킨다. 전기료 등 에너지를 아끼고 궁극적으로는 야근 없는 조직 문화를 만들겠다는 구상이다.

층마다 있는 회의실을 없애고 한 층에 누구나 쓸 수 있는 ‘집중 회의실’도 만든다. 여기엔 사무실 3.3㎡(1평)당 임차료가 16만원에 이른다는 점도 작용했다.

좌석은 출근 순서대로 골라잡는 자율제다. 부서 구분도, 고정 책상도 없는 셈이다. 따라서 종이도 없다. 각종 자료는 공용 클라우드에 올려 필요할 때마다 내려받아 사용한다. 부득이하게 출력하는 개인 서류와 물품 등은 사물함에 따로 보관한다. 하나은행 관계자는 “직급 순서로 배치되던 자리 개념을 없애고 유연하고 창의적인 협업 문화를 만들 방침”이라면서 “층마다 있는 탕비실이나 서고 역시 한 곳으로 집중해 공간을 절약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美 아멕스 등 해외 사례 적극 벤치마킹

미국의 대형 카드사 아메리칸익스프레스(아멕스)가 이런 식이다. 하나금융도 아멕스를 벤치마킹했다. 아멕스는 임원 2~3명이 한 사무실을 돌아가며 6개월씩 ‘예약제’로 쓴다. 또 4개월마다 직원 설문을 통해 자리 배치나 조직 문화의 장단점을 확인하고 보완한다. 미국 씨티은행도 2015년 11월 본사 맨해튼 건물을 리모델링할 때 칸막이와 고정 좌석을 없애 개방형으로 사무 공간을 혁신했다. 스페인의 대표적인 글로벌 은행인 BBVA은 세계 각국 직원 간 협업을 위해 공용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한 디지털 업무 시스템을 도입했다. 이 은행의 프란치스코 곤잘레스 최고경영자(CEO)는 “디지털화하지 못하면 은행은 망한다. 우리는 소프트웨어 회사가 될 것”이라고 공언했다.

하나금융은 스마트폰으로 영업, 생산관리 업무도 할 수 있는 ‘모바일 오피스’를 비롯해 집 가까운 곳에서 근무하는 ‘스마트 워킹센터’, ‘재택 근무’ 등도 병행해 나갈 예정이다.

백민경 기자 white@seoul.co.kr
2017-01-18 20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