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이은미의 뮤지엄 천국] 덴마크다움 찾기/이은미 국립민속박물관 학예연구사

[이은미의 뮤지엄 천국] 덴마크다움 찾기/이은미 국립민속박물관 학예연구사

입력 2017-02-17 17:52
업데이트 2017-02-17 18:0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이은미 국립민속박물관 학예연구사
이은미 국립민속박물관 학예연구사
두 해 전 덴마크국립박물관 객원연구원으로 처음 만났던 특별전시는 ‘화이트 버스’였다.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덴마크에서 나치 강제수용소에 갇힌 사람들을 구출하기 위한 노력과 시민의 역할을 담은 전시였다. 관람객들에게 ‘당신은 행동하는 시민입니까?’라는 메시지를 던지며 어떤 선택을 할 것인지 묻고 있었다.

덴마크는 작은 나라답게 민족 정체성이 강하다. 이런 나라가 다문화 사회의 진전에 따른 문제를 박물관의 시각에서는 어떻게 해결하려 하는지 관심이 많았다. 그런데 정작 덴마크의 문화 정책을 살피면서 다문화 혹은 문화 다양성이라는 단어를 찾기는 쉽지 않았다. 양성 평등, 동성 커플 인정 등 많은 분야에서 차별을 철폐하고 다양성을 한껏 인정하고 있는 나라지만 다문화주의라는 개념은 갈피를 잡지 못하고 있는 듯했다.

이 나라 문화부의 지난해 ‘덴마크 캐논’ 프로젝트는 다문화 사회로의 진전과 문화 정체성이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지 보여 준다. 당시 사회적 이슈는 ‘덴마크다움’이었다. 난민과 이민자가 몰려드는 상황이었다. 덴마크 사회를 만든 문화 정체성을 찾겠다는 이 사업은 국민에게 가장 중요한 가치가 무엇인지 고르게 했다.

복지사회, 자유, 신뢰, 법 앞에 평등, 양성 평등, 덴마크어, 협동조합과 자원봉사, 자유주의, 휘게, 기독교 유산이라는 10개의 가치가 선정됐다. 민주주의와 국가 정체성, 사회 통합을 위한 국가 전략이자 ‘외부인’이 덴마크 시민이 되기 위해 갖추어야 하는 필수 요건이다.

현지 신문에는 ‘덴마크다움을 찾는 것이야말로 덴마크다운 일’이라는 기사가 실리기도 했다. 덴마크 정부는 앞서 2006년에는 건축, 시각예술, 디자인, 문학, 음악 등 8개 분야의 108개 작품을 ‘덴마크 문화 캐논’으로 선정했다. 이 나라 사람들이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문화유산을 고른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같은 해 우리 정부의 ‘100대 민족 문화 상징’과도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우리 정부는 재작년 ‘한국다움 낱말 찾기’ 사업을 벌이기도 했다. 한국과 덴마크의 문화부가 추진한 사업들은 문화 DNA를 찾는다는 취지나 진행 방식은 얼핏 비슷해 보인다. 하지만 그 사회적 맥락은 다르다.

‘100대 민족 문화 상징’은 우리 문화의 원형을 찾아 문화예술 콘텐츠와 관광 산업에도 활용하려는 취지였다. ‘한국다움 낱말 찾기’ 역시 국가 브랜드 사업의 하나로 세계에 한국을 알리는 차원에서 문화산업 분야에서의 활용을 강조했다. 반면 ‘덴마크 캐논’은 다문화 사회로의 진전이라는 변화 속에서 현실화되고 있는 문화 정체성의 위기가 배경이라고 할 수 있다. “덴마크 캐논은 미래에 관한 걱정이 커지는 시기에 만들어졌으며, 10개의 가치는 우리의 문화적 DNA이자 덴마크 사회의 화합을 위해서도 필수적인 것이라고 믿는다”는 당시 문화부 장관의 발언도 이를 뒷받침한다. 연장선상에서 덴마크국립박물관도 3개년 프로젝트의 하나로 난민 대상 ‘사회 통합을 위한 시민의식 교육’에 나섰다.

‘덴마크 캐논’은 난민이 급증하는 유럽의 고민을 보여 준다. 하지만 다문화주의를 폭넓게 받아들인 스웨덴의 박물관에서는 여전히 ‘문화 다양성과 다른 문화와의 공존’ 같은 설명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다양성에 기초한 다문화주의를 국가 정체성으로 삼고 있는 캐나다 박물관도 다르지 않다. 총리부터 “서로 다른 정체성을 가진 캐나다인을 얼마든지 상상할 수 있다”고 강조하는 국가다. 이렇듯 문화 다양성과 국가 정체성의 문제를 풀어 가는 방식은 나라마다 다른 게 정상이다. 당연히 한국 박물관에는 한국적 과제가 주어져 있다.

2017-02-18 22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