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씨줄날줄] 졸업 유예/박홍기 수석논설위원

[씨줄날줄] 졸업 유예/박홍기 수석논설위원

박홍기 기자
입력 2017-02-23 18:02
업데이트 2017-02-23 18:0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군대 기간을 빼고 대학 생활 4년이면 사각모를 쓸 줄 알았다. 4년은 졸업 학점의 이수가 가능한 기간일 뿐이었다. 졸업을 한 학기 미뤘다. 학점이 모자라서가 아니라 취업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자발적 졸업 유예다. 졸업생보다 재학생을 선호하는 기업의 채용 문화에 꿰맞추기 위해서다. 겉으론 학생 신분을 유지하면 도서관 등 시설을 이용할 수 있는 데다 취업 정보도 쉽게 얻을 수 있다는 명분을 내세우고 있다. 과 친구들의 절반이 같은 처지다. 피할 수 없는 현실이다.
2015년 졸업 유예를 선택한 학생은 전국적으로 1만 7000여명에 이르렀다. 졸업 유예제는 취업난이 심해진 2010년 전후로 확산됐다. 학생인 만큼 등록금을 내야 한다. 학점에 따라 책정되는 게 일반적이다. 최저 학점이 3학점이다. 60만원대다. 백수인 입장에선 부담이 적지 않다. 아르바이트로 마련하거나 부모님께 고지서를 내밀 수밖에 없다. 졸업 유예에 따른 처지 역시 부모의 경제력에 의해 좌우되는 것이다. 고달픈 청춘이다.

졸업식 날이다. 졸업은 늦췄지만 동기들의 졸업을 축하하러 학교를 찾았다. 곳곳에 ‘졸업 축하’ 현수막이 걸렸다. ‘입학 9년차! 드디어 졸업’, ‘김○○ 무직 박○○ 무직, 졸업을 축하드립니다’라는 글귀도 있다. 제일 오래 다니는 학교는 초등학교가 아니라 대학교라는 말이 어색하지 않다. ‘졸업이 끝이 아닌 새로운 출발, 시작’이라는 문구는 와 닿지 않는다.

졸업하는 친구들은 식장에 들어가지 않았다. 학사모에 가운을 입고 가족들과 동기들과 사진을 찍었다. 다른 대학에서는 졸업식을 축소하거나 없앴다. 졸업증서만 찾아가는 학생이 많아서다. 졸업식 전에 혼자 기념 촬영을 하는 등 ‘나 홀로 졸업식’을 하는 이들도 있다. 서럽다.

취업문이 얼어붙었다. 지난달 청년실업률은 8.6%를 기록했다. 취업을 준비하는 이들까지 포함한 체감 청년실업률은 22.5%다. 5명 중 1명은 쉼 없이 자기소개서를 쓰고 있다. 기업들은 채용 때 재학생이라고 해서 점수를 더 주거나 졸업생이라고 해서 점수를 덜 주는 일은 없다고 단언한다. 그러나 졸업자에게 정규직은커녕 인턴에 지원할 기회조차 주지 않는 기업들도 있다. 그렇다 보니 학생 신분을 갖는 게 그나마 기회를 늘리는 방법일 수밖에 없다. 불안해서다. 물론 졸업하고 취업에 전념하는 청년들이 훨씬 많다.

졸업 유예나 졸업자의 소망은 같다. 일을 통한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소속감이다. 창업이 아닌 다음에야 스스로 일자리를 가질 수 없다. 한계다. 기업의 사회적 공헌은 양질의 일자리 창출이다. 정부는 기업이 일자리를 만들 수 있도록 토대를 조성해야 한다. 일자리에 관한 한 정부와 기업이 따로 갈 수 없다. 대학도 졸업 유예자들의 금전적 부담을 덜어 주는 등의 더 적극적인 지원책을 고심할 필요가 있다. 애프터서비스 차원에서다.

박홍기 수석논설위원 hkpark@seoul.co.kr
2017-02-24 31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