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문화마당] 한류가 식고 있다는데/정재왈 안양문화예술재단 대표

[문화마당] 한류가 식고 있다는데/정재왈 안양문화예술재단 대표

입력 2017-04-12 17:58
업데이트 2017-04-12 18:1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정재왈 안양문화예술재단 대표
정재왈 안양문화예술재단 대표
한류가 퇴조하고 있는가. 며칠 전 그런 불길한 조짐을 확인해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특정 국가와 권역에 한정된 얘기가 아니다. 대부분의 조사 대상국에서 소비 예상 증가치가 줄고 반(反)한류 분위기가 높아지고 있어 앞날이 밝지 않다. 한국문화산업교류재단이 최근 낸 ‘2016~2017 글로벌 한류 실태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아시아·미주·유럽·중동 주요국에서 ‘1년 후 한류 콘텐츠 소비가 비슷하거나 증가할 것’이라는 응답이 80.2%로 전년보다 8.6% 포인트가량 줄었다. 지난 총 6차례 조사 가운데 처음 감소로 돌아섰다.

이런 흐름은 한류에 대한 관심도에도 그대로 반영됐다. ‘1년 후 한류 관심도가 비슷하거나 증가할 것’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80.6%로 전년 대비 8% 포인트 하락했다. 반면 ‘반한류 분위기에 공감한다’는 비율은 평균 21.1%로 전년보다 4.9% 포인트가 늘었다. 인도(33.7%), 일본(28.3%), 중국(27.8%), 아랍에미리트(25%) 순으로 반한류 공감도가 높았다.

어느 정도 이미 예견된 일이긴 했다. 가장 큰 한류 시장인 중국은 한한령(限韓令)을 발동하며 극단적 보호주의로 돌아섰고, 1990년대 후반부터 한류의 시발점인 일본과는 외교적 갈등으로 문화교류조차 꽁꽁 얼어붙은 지 오래다. 두 나라는 그렇다 쳐도 비교적 정치·외교적 현안에서 자유로운 미주와 유럽, 동남아, 중동 등 세계 전역에서 경고음이 들여온 것은 다소 뜻밖이다. 거품이 빠지면서 생기는 조정국면이면 좋겠지만 ‘한류 콘텐츠의 획일성·식상함’을 관심도 하락의 첫 번째 원인으로 꼽는 보고서의 분석을 보면 드디어 올 게 왔구나 하는 생각에 미친다.

문화권 간 대중문화의 교류 가능성을 평가하는 지표로 ‘문화할인율’이라는 게 있다. 인종과 언어, 종교, 문화적 정서와 관습 등이 유사하여 문화권 간 간극이 좁을 경우 자신의 문화적 경험을 크게 할인하지 않아도 타 문화를 쉽게 이해하고 즐길 수 있다. 그렇지 못할 경우는 문화할인율이 높아 한 나라의 문화상품이 다른 나라에서 수용되기가 어렵다. 한류를 주도하는 TV드라마가 동남아 권역에서 폭넓게 받아들여지는 이유는 문화할인율이 낮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태껏 안방이라고 여긴 중국과 일본, 동남아시아에서 한류 공감도가 격감하는 것은 심상치 않다. 단순히 정치·외교적 갈등 요인을 탓하기보다 근본적 고민이 필요한 이유가 여기 있다.

그럼 하강 국면에 있는 한류의 흐름을 상승 기류로 전환할 수 있는 방법은 없는 것인가. 오래, 넓게 사랑받는 경쟁력 있는 양질의 콘텐츠 생산은 기본 중의 기본이다. 여기에 몇 가지 발상의 전환이 추가된다면 국면 전환은 가능하지 않을까 한다. 우선 지나치게 문화산업(콘텐츠) 지향적인 한류에 대한 개념을 순수예술로 확장해서 보는 자세가 필요하다. 순수예술은 대중문화에 비해 예의 문화할인율은 높지만 상품으로 보지 않기 때문에 국가 간 교류 가능성은 포괄적이며 광범위하다. 막상 물꼬가 트이면 그 효과는 깊고 넓어서 돈으로 환산할 수 없는 어마어마한 무형의 가치를 만들어 낸다. 사실 한류가 도달해야 할 정점이 이게 아닌가 싶다.

이외에 급히 시도해볼 만한 대응책으로는 우회하거나 현지화하는 방법이다. 중국 진출이 막히자 인접 시장인 홍콩에서 한국 뮤지컬 설명회를 연 것은 우회 전략의 한 예이다. 현지 예술가들과 협업을 통해 우리 콘텐츠를 상품화하는 현지화 전략도 고려할 만하다. 위기는 기회라는 평범한 진리 앞에 한류가 놓여 있다.
2017-04-13 30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