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최만진의 도시탐구] 자동차를 버려야 할 새 대통령

[최만진의 도시탐구] 자동차를 버려야 할 새 대통령

입력 2017-04-21 17:52
업데이트 2017-04-22 00:4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최만진 경상대 건축학과 교수
최만진 경상대 건축학과 교수
18세기 영국에서 시작돼 전 세계로 확산된 산업혁명은 인류의 삶에 어마어마한 변혁을 가져다주었다. 기계화와 공업화를 통해 값싸고 좋은 이기와 상품을 대량으로 생산해 공급했고, 철도와 같은 교통기관으로 전 세계로 배송했다. 성급한 사람들은 이러한 편리함과 부의 축적이 머지않아 지상 천국을 가져다줄 것이라 기대하기도 했다.

하지만 이 화려함의 뒤안길에는 심각한 문제점들이 속속 등장하기 시작했다. 늘어난 공장 일자리를 찾아 농촌 사람들이 대거 몰려들었고, 도시 인구는 폭증했다. 가난하고 전문기술이 없었던 이들은 공장에서 대부분 최소한의 임금을 받고 일할 수밖에 없었고, 위생 환경이 불량한 밀집되고 과밀화된 곳에 살게 됐다. 이로 인한 전염병 발생에 대한 우려는 공포의 대상이었다. 도시민을 괴롭힌 것은 공장과 자동차가 내뿜는 공해와 매연, 소음, 오수 등도 마찬가지였다. 이들은 도시민의 건강을 위협했고 도시 공간의 질을 훼손하는 등 눈부신 산업혁명의 어두운 진면목을 보여 주었다.

이러한 와중에 산업시대의 도시를 가장 혼란스럽게 만든 주범은 자동차다. 이는 사람들의 꿈인 무한한 이동의 자유를 선물한 기계화 사회의 상징이다. 이 때문에 당시의 건축가나 도시계획가도 무한한 감동과 애정을 가지고 자동차를 도시개발의 중심에다 두었다. 공업화로 인한 도시문제 해결을 위해 20세기 초에 나온 전원도시 계획이 대표적인 예다. 이는 자동차를 타고 와서 일은 도심에서, 주거는 농촌의 전원주택지에서 영위한다는 획기적인 발상에서 비롯됐다. 이로써 도시와 농촌의 장점을 통합한 복합도시를 만들고자 했다. 이 이론을 따라 도심과 전원 주택지를 그린벨트는 차단하고 자동차 전용도로와 순환도로는 이어 주는 현대적 개념의 도시가 도처에 생겼다. 이처럼 자동차 사랑은 끝날 줄을 몰랐고, 대부분의 근대 및 현대의 도시계획 및 개발에 핵심 요소로 등장했다.

하지만 이는 또 다른 심각한 문제를 야기했다. 자동차에다 도시 개발의 주요 방점을 두다 보니, 도시는 자동차가 지배하고 점령했다. 즉 도시에는 자동차를 위한 도로, 입체로, 주차장, 주차건물 등이 가득 찼다. 또한 이를 타고 가서 일하는 업무 및 상업시설 등이 도시 경관을 대표하게 됐다. 이에 반해 도시민은 도시 공공공간에서 쫓겨나고 소외돼 비인간화된 삶을 살게 됐고, 도시는 사람의 온기를 점차 잃게 됐다. 심지어는 도심 공동화 현상까지 발생해 특히 야간에는 사람의 인적이 드문 유령의 도시로 변했다. 그동안 우리 사회는 산업화와 경제발전을 위해 숨 가쁘게 달려와 배고픔은 해결했다. 하지만 감성이 메마르고 황사가 뒤덮인 도시 공간에서 기력을 잃어버리고 급기야 최고의 자살 국가라는 오명까지 쓰게 됐다. 이 때문에 오늘날 도시 개발의 초점은 도시 공간을 사람에게 돌려주고 사람을 살리는 것에 맞추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대선 열기가 점차 가열되고 있는 이 시점에서 그 누구도 자동차를 버린 건강한 도시를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사람이 없다. 국가의 미래와 발전을 위한 4차 산업혁명을 이야기하고 있지만, 이는 결국 건강하고 따뜻한 도시 공간에서 살아가는 창의적인 사람들이 하는 일임을 잊어서는 안 된다.

사람을 도외시한 제1차 산업혁명의 실패를 우리는 재현해서도 안 된다. 새로 뽑힐 대통령은 이제 자동차를 버리고 사람 중심의 조화롭고 통합된 사회를 만들어 가야 할 것이다.

2017-04-22 22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