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정찬주의 산중일기] 차를 마시면 흥하리

[정찬주의 산중일기] 차를 마시면 흥하리

입력 2017-05-08 22:04
업데이트 2017-05-08 22:1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차는 행복한 치유의 물방울이다
허백련 화백은 ‘차를 많이 마시면 나라가 흥한다’고 했다
다도 전통을 방방곡곡에서 되살려야…
이미지 확대
어제 차나들이를 다녀왔다. 차나들이란 단어는 국어사전에 없지만 내가 지어서 써 온 말이다. 봄나들이와 비슷하다고 보면 된다. 해마다 곡우 무렵에 차나들이를 했는데 올해는 부처님오신날을 택일했으니 많이 늦은 셈이다.

신록과 녹음이 어우러진 산길은 벌써 초여름이 짱짱하게 서성거리는 느낌이었다. 순천 다보원에 이르자 제다는 이미 끝났고 찻방은 조용했다. 주인인 다목(茶目) 유수용 선생과 부인이 나를 맞이했다. 하루 전만 해도 제자들이 작설차를 만드느라고 붐볐다는데 파장이었다.
이미지 확대
정찬주 소설가
정찬주 소설가
나는 적적한 찻방에 든 것을 행운이라고 생각했다. 아침 햇살이 창을 투과해 들어와 한 자리 차지하니 더 바랄 것이 없었다. 유 선생이 찻물을 붓고 백운산 야생차를 우렸다. 야생차는 300도와 350도 사이에서 짧게 여러 번 덖어야 풋내를 없앨 수 있다고 한다. 더불어 찻잎을 속까지 익히는데 탄내가 붙어서는 안 된다고 한다. 차꾼들은 이 과정을 풋내와 탄내를 잡는다고 하는데, 유 선생은 ‘은근하게 고소하면서도 미세하게 풋내가 나는 맛’이 최고의 차 맛이란다. 32년 경력의 명인이 경험으로 체득한 감각이니 새겨듣지 않을 수 없었다. 두 번째는 찻물이 좋아야 그윽한 차 맛을 발현할 수 있다고 한다.

“제 경험입니다만 지리산이나 백운산 계곡물, 또는 오대산 우통수 샘물이 찻물로는 최고라고 생각합니다.” 유 선생이 사용하고 있는 찻물은 백운산 계곡물. 과연 차를 한 잔 마셔 보니 그가 이야기한 대로였다. 입안에 향기롭고 맑은 기운이 은은한 무게로 감돌았다. 잠시 후에는 심신이 개운하게 정화되는 듯했다. 차야말로 행복한 치유의 물방울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초여름이 잰걸음하는 날의 차나들이였지만 그래도 잘 나섰다고 스스로 위안했다. 그래서 나는 쑥스럽기도 하여 지나가는 봄날에 마시는 차이므로 ‘과춘차’(過春茶)라고 우스갯소리를 했다.

때마침 내 산방에서 가까운 보성에서는 ‘다향대축제’가 열리고 있다. 이왕 차나들이가 늦어졌으니 이삼일 후쯤 축제 현장에 가서 보성차를 음미할 계획이다. 보성차의 역사는 깊다. 조선시대에는 갈평과 웅점에 차를 만들어 진상하는 다소(茶所)가 있었다고 전해진다. 그때는 육조의 관원들이 일과를 시작하기 전에 차 마시는 시간인 다시(茶時)와 관청마다 차방인 다시청(茶時廳)이 있었던 것이다. 이런 사실을 아는 이가 얼마나 될까.

맑은 정신으로 일하자는 취지에서 다시를 두었다고 한다. 이 같은 다시를 복원한다면 추락을 멈추지 않는 나라의 격이 조금이라도 올라가지 않을까. 허백련 화백은 ‘차를 많이 마시면 나라가 흥한다’고 했고, 초의선사는 구도의 길을 묻는 젊은 승려들에게 ‘차를 마시면서 어찌 도를 이룰 날이 멀다고 하는가’라고 꾸짖기도 했던 것이다. 여기에서 도는 추상적인 말이 아니라 ‘나를 행복하게 하는 지혜’다. 그러니 차를 마신다는 것은 음다흥국(飮茶興國)의 길이고 내가 행복해지는 일이 아닐까 싶다.

녹차 관광 수도라고 자랑하는 보성군만이라도 먼저 다도 전통을 되살리는 차원에서 다시회복(茶時回復) 운동을 펼쳐 방방곡곡에 메아리쳤으면 좋겠다. 지난 금요일에는 복산(福山) 윤형관 선생이 내 산방을 찾아온 일이 있다. 윤 선생은 보성 봇재에 있는 자신의 차밭을 차 생산은 물론 힐링 공간으로 만들고 싶어 했다. 선생의 차밭 이름은 명량다원. 이순신 장군이 수군을 재건하면서 보성 봇재를 넘어갔다고 하여 그렇게 작명한 듯했다.

실제로 이순신 장군은 보성 봇재를 넘어가 회령진에서 배설에게 배 12척을 받아 명량대첩에서 대승했던 것이다. 나는 윤 선생에게 두 가지, 즉 차밭에 역사와 예술의 옷을 입히라고 조언했다. 역사는 차밭에 혼을 불어넣을 것이고, 품격을 높여 주는 촉매는 예술일 터. 차밭에 이순신 동상을 세워 애민의 혼을 살려 내고, 다시공원(茶詩公園)을 조성해 옛 선비들의 멋들어진 낭만과 정신을 닮아 보자는 바람에서였다. 윤 선생은 나의 조언을 기꺼이 받아 주었고, 그래서 나는 그의 호처럼 복이 산처럼 쌓이기를 바랐다. 물론 복이란 것도 총량이 있어 베푼 만큼 돌아오는 인과이긴 하지만 말이다.
2017-05-09 30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