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대와 현실, 얄팍한 경계

아쉬가르 파라디 감독이 만든 영화 ‘세일즈맨’에는 아서 밀러가 쓴 희곡 ‘세일즈맨의 죽음’이 상연된다. 20세기 미국을 배경으로 하는 작품이 21세기 이란에서 공연된다는 사실 자체가 이상하다는 생각이 들 수도 있겠다. 알다시피 미국과 이란의 적대 관계는 오래 지속되고 있으니까.
특히 검열관이 존재하는 이란에서 미국 작품이 수용되기는 쉬운 일이 아니다. 실제로 ‘세일즈맨’의 등장인물들은 ‘세일즈맨의 죽음’을 무대에 올릴 때 당국의 검열에 걸릴 만한 부분을 걱정한다. 그렇지만 이 영화가 미국과 이란의 정치적 갈등을 제재로 삼는 것은 아니다. 아쉬가르 파라디 감독은 ‘세일즈맨의 죽음’에 나오는 유명한 대사를 궁굴린다.

“이 사람을 비난할 자는 아무도 없어. 세일즈맨은 꿈꾸는 사람이거든.” 윌리의 죽음을 애도하는 이웃 찰리의 말이다. 윌리는 세일즈맨으로 일하다 자신의 삶을 세일즈하는 방식으로 최후를 맞이했다. 한데 그런 윌리의 인생은 찰리의 말마따나 비난받을 수 없는 것일까? 그렇지 않으면, 찰리의 변명과 상관없이 윌리를 비난할 수 있는 것일까? 아니 애초에 윌리가 꿈꾸는 사람이기는 했을까? 만약 그렇다고 한다면, 그가 꿨던 꿈의 실체는 무엇이었을까? 이것이 희곡을 바탕으로 영화가 던지는 질문의 목록이다. 아쉬가르 파라디 감독은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각색했다.
허희 문학평론가·영화칼럼니스트
부부인 에마드(샤하브 호세이니)와 라나(타라네 앨리두스티)는 연극 ‘세일즈맨의 죽음’에 출연하는 배우다. 두 사람은 극중에서도 주인공 부부, 윌리와 린다 역을 맡아 연기한다. 그러던 어느 날, 새로 이사 간 집에 혼자 있던 라나가 괴한의 습격을 받는다. 병원에 실려 갈 정도로 그녀는 크게 다친다. 하지만 라나는 이 사건을 경찰에 신고하지 않는다. 증언을 하려면 악몽 같은 그 순간을 계속 떠올려야 하기 때문이다. 그녀는 이런 상황과 마주하기를 원치 않는다. 에마드도 그러자고 한다. 그러나 그는 범인을 도저히 용서할 수 없다. 자기 나름대로 범인을 추적하기 시작한 에마드. 마침내 그는 범인과 대면한다.

이때쯤이면 관객은 아쉬가르 파라디가 얼마나 영리한 감독인지 알게 된다. 그 이유 중 하나는 그가 원작의 중심 캐릭터 윌리를 영화에서 단 한 사람으로 특정하지 않는다는 데 있다. 우선 매일 밤 윌리로 분하는 에마드가 윌리라고 할 수 있다. 그는 ‘무대의 윌리’다. 다른 윌리는 에마드가 찾아낸 범인이다. 세일즈맨으로서 돈을 벌고 있는 그는 ‘현실의 윌리’다. 이렇게 무대의 윌리와 현실의 윌리가 부닥치는 것이다. 그러는 동안 위에 언급한 질문들이 둘을 향해 쏟아진다. 섣부른 답은 금물. 여기에서는 다만 윌리의 마지막 선택에 대한 린다의 독백을 옮기려 한다. “미안해요, 여보. 울 수가 없어요. 알 수가 없네요. 왜 그런 짓을 했어요?” 11일 개봉. 15세 관람가.

허희 문학평론가·영화칼럼니스트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