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임한웅의 의공학 이야기] 눈을 통한 스마트 헬스케어

[임한웅의 의공학 이야기] 눈을 통한 스마트 헬스케어

입력 2017-05-29 17:40
업데이트 2017-05-29 17:4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임한웅 한양대병원 안과 교수
임한웅 한양대병원 안과 교수
우리나라 국민 10명 중 1명이 앓고 있을 만큼 가장 흔한 성인병 중 하나인 ‘당뇨병’(糖尿病)은 한자 그대로 풀이하면 ‘소변에서 당이 발견된다’는 뜻이다. 기원전 1500년 이집트에서 소변량이 많은 병으로 기술됐고, 같은 시기 인도에서는 소변에 개미가 몰려드는 것을 관찰하고 ‘꿀소변’이라고 불렀다고 한다.

하지만 미래에는 당뇨병을 소변의 당분이라는 뜻을 대신해 ‘눈물의 당’이라는 뜻의 ‘당루’(糖淚)라고 부르게 될지 모른다. 눈물을 통해 혈당을 측정할 수 있는 콘택트렌즈 센서가 곧 상용화될 것이기 때문이다. 최근 국내 연구진도 ‘스마트 콘택트렌즈 센서’를 개발했는데, 이 센서를 사용하면 눈물 속 혈당 정보뿐 아니라 녹내장에서 중요한 안압 측정도 가능하다고 한다. 간이 혈당 측정기를 이용해 하루에도 여러 차례 피를 뽑는 것은 여간 불편하고 고통스러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첨단기술의 개발로 수많은 당뇨 환자들이 더욱 편안하게 당 수치를 알 수 있게 될 것이다.

스마트 헬스케어는 스마트 기기를 이용해 건강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것이다. 환자의 생체 정보와 상태 등을 분석해 실시간으로 건강 정보를 제공하며 개인에게 최적화된 맞춤형 건강관리를 가능하게 해 준다. 몸에 걸칠 수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을 활용하면 심장박동과 몸무게, 혈압 등의 건강 관련 데이터를 통해 통합적인 건강 관리가 가능하다.

여러 스마트 헬스케어 기기 중에서 눈 정보를 이용하는 기기가 많은데 대표적인 것이 ‘홍채 인식 시스템’이다. 눈은 ‘건강의 창’이라고 불릴 정도로 건강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되는 기관이다. 특히 다른 신체 장기와 달리 신경과 혈관을 직접 관찰할 수 있다는 점에서 특별하다고 하겠다.

우선 망막의 혈관 상태를 관찰해 당뇨병, 고혈압, 동맥경화증 등의 만성 질환에서 혈관합병증을 예측하거나 진단할 수 있다. 특히 ‘당뇨망막병증’은 성인 실명의 중요한 원인으로, 조기 진단을 위해서는 정기적인 선별검사가 필수다. 최근 이런 검사의 중요성을 반영하듯 스마트 모바일 기기에 부착해 안저를 촬영하는 장치가 다양한 기업에서 개발돼 상용화된 상태다. 이런 기술을 널리 적용한다면 병원에 직접 방문하지 않고도 안저 이미지를 얻을 수 있어 내과 합병증 관리나 안과 추적관찰에 획기적인 전환점이 될 수 있다. 인공지능으로 당뇨망막병증을 진단한 결과 상당히 믿을 만한 결과가 나왔다고 하니 신기술이 어떤 기술을 대체할지 따라가기가 숨가쁠 정도다.

영화에서나 볼 수 있었던 홍채 인식 기술은 이미 우리 일상생활에서 사용되고 있다. 홍채 외에도 동공이나 각막을 인식해 스마트폰의 기능을 조절할 수 있는 기술도 개발돼 장애인에게 도움을 주고 있다. 이런 눈 추적 기능은 사용자가 바라보는 대상에 대한 정보를 자동으로 얻거나 반대로 개인이 바라보는 사물을 추적해 기록하는 일도 가능하게 한다. 이 기능을 활용한 심리연구와 뇌과학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만약 인공지능, 빅데이터와 합쳐지면 생활에 큰 변화를 가져오게 될 것이다.

현재 스마트 헬스케어 산업은 개개인의 건강 관리와 모니터링 위주이지만 향후 정밀의료와 치료까지 도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우리나라는 선진국보다도 높은 기술을 갖고 있다는 점에서, 스마트 헬스케어 산업의 전망이 밝다고 본다. 정부도 미래산업 육성 지원 사업에서 스마트 헬스케어 원천기술 확보에 방점을 두고 연구진과 기업에 힘을 실어 주고 있다. 꿈으로 그리던 미래, 영화 속의 상상이 현실이 되는 시대를 앞서 개척하고 대비하는 자세로 맞이해야 할 것이다.

2017-05-30 29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