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北 ‘화성 14형’ 대기권 재진입 성공 못했다”

“北 ‘화성 14형’ 대기권 재진입 성공 못했다”

박홍환 기자
입력 2017-08-17 22:14
업데이트 2017-08-18 00:0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상민 국방硏 연구원 분석

“고온의 플라즈마 흔적 식별 안돼
재진입체 불꽃 후 공중서 사라져”


북한이 지난달 28일 밤 기습 발사한 대륙간탄도미사일(ICBM)급 ‘화성 14형’은 대기권 재진입에 성공하지 못했다는 전문가 분석이 나왔다. 한·미 군 당국도 북한 미사일이 ICBM급 사거리 진전은 이뤘지만 ICBM급 미사일의 대기권 재진입 기술은 아직 확보하지 못한 것으로 보고 있다.

이상민 한국국방연구원(KIDA) 연구원은 17일 ‘화성 14형 2차 시험발사에 따른 김정은의 득과 실’이라는 제목의 분석 보고서에서 3가지 요인을 대기권 재진입 실패 근거로 제시했다.

우선 융제(화학적 삭마) 흔적이 발견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ICBM급 미사일의 경우, 마하 20 이상의 속도로 대기권에 재진입하면서 7000~8000도의 고온이 발생, 재진입체가 화학적 삭마 현상을 일으킨다. 이때 재진입체가 지나간 자리에 고온의 플라즈마 흔적을 오랫동안 남기는데 이번에는 그런 흔적이 식별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두 번째로는 카메라에 포착된 불꽃을 제시했다. 당시 북한 재진입체 추정 물체가 일본 NHK 카메라에 포착했었다. 이 연구원은 “재진입체가 불꽃을 일으키고 나서 공중에서 사라졌다”면서 “모의 탄두가 비정상적으로 폭발하거나 타버렸을 것이라는 추정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세 번째 근거는 관측된 폭발 고도다. 그는 “정상 폭발됐다고 가정하더라도 카메라에서 관측된 폭발 고도가 높아 지상까지 도달하는 재진입 능력을 갖췄다고 볼 수 없다”고 주장했다.

카메라에 포착된 고도(대략 3∼4㎞)에서 정상적으로 폭발했더라도 정상적 탄두로서 위력은 갖추지 못했다는 것이다.

이 연구원은 “화성 14형의 재진입체가 불타는 모습을 지켜보았을 김정은이 추가 시험발사를 기획하고 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전망했다.

박홍환 전문기자 stinger@seoul.co.kr

2017-08-18 5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