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북핵 실험 여파로 백두산 분화 가능성”

“북핵 실험 여파로 백두산 분화 가능성”

유용하 기자
유용하 기자
입력 2017-09-26 18:10
업데이트 2017-09-26 21:3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국지질硏 국제 학술대회

최근 북한의 잦은 핵실험이 946년 밀레니엄 대분화 이후 휴화산 상태로 있는 백두산의 분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이미지 확대
1000년 이상 휴화산으로 잠들어 있는 백두산이 최근 북한의 잦은 핵실험으로 지각에 변동이 생겨 폭발할 가능성이 높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사진은 백두산 천지 모습 위키피디아 제공
1000년 이상 휴화산으로 잠들어 있는 백두산이 최근 북한의 잦은 핵실험으로 지각에 변동이 생겨 폭발할 가능성이 높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사진은 백두산 천지 모습
위키피디아 제공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이 26일 서울 종로 센터마크호텔에서 개최한 ‘제1회 백두산 국제학술대회’에서다. 국내외 화산 전문가들은 백두산 일대의 지각변동이 엄청난 화산폭발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화산폭발 징후를 예측하기 위해서는 한국과 북한, 중국의 공동연구 시스템 구축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2011~2014년 북한 측 백두산 화산현장조사단 대표로 활동한 클라이브 오펜하이머 영국 케임브리지대 교수는 “백두산 지하에 거대한 마그마가 존재한다는 것은 명백한 사실”이라며 “과거와 비교했을 때 백두산 주변에 지진 발생 횟수가 증가한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화산 주변에 지진이 잦아지는 것은 마그마가 표면에 올라올 때 나타나는 징후 중 하나라는 설명이다.

2014~2016년 한·중 백두산공동연구단 중국 측 대표였던 류자치 중국 화산학회 명예회장도 “6번의 북한 핵실험이 있었는데 점점 강도가 강해지고 있다”면서 “장기간 백두산 분화현상을 연구했지만 추가적인 분화 시점 예측이 쉽지 않은 만큼 다국가 공동 연구를 통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지난해 2월 홍태경 연세대 지구시스템과학과 교수는 북한의 1~3차 핵실험 지진파를 분석해 핵실험으로 인한 지진이 규모 7에 이를 경우 백두산 분화를 촉발시킬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세계적인 과학저널 ‘네이처’의 자매지 ‘사이언티픽 리포츠’에 발표하기도 했다.

백두산이 대분화를 일으킨 946년에는 화산재와 먼지 등이 한반도 전역을 뒤덮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신중호 지질연 원장은 “과학기술로 화산 폭발을 막을 수는 없지만 국제 공조를 통해 체계적인 연구를 진행한다면 재해로 인한 피해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유용하 기자 edmondy@seoul.co.kr
2017-09-27 5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