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이호준의 시간여행] 초가지붕에 묻힌 추억

[이호준의 시간여행] 초가지붕에 묻힌 추억

입력 2017-09-26 17:52
업데이트 2017-09-26 19:0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이호준 시인·여행작가
이호준 시인·여행작가
해마다 늦가을이면 순천 낙안읍성이나 경주 양동마을, 아산 외암리 민속마을 같은 전통마을을 찾아간다. 꼭 가을이어야 하는 이유는 새로 올린 초가지붕을 만나기 위해서다. 그곳에 가면 미술 작품이라도 감상하듯 오랫동안 지붕을 바라본다. 그 부드러운 곡선을 가슴에 들이면 각진 마음이 둥글둥글 무뎌지는 경험을 하고는 한다. 올해도 추수가 끝나고 이엉을 얹을 때가 되면 그중 한 곳을 찾아갈 것이다.

새 지붕을 이는 풍경 앞에 서면 기억은 자연스럽게 어릴 적 어느 날로 달려간다. 아버지는 추수가 끝나면 마당 한쪽의 짚가리 옆에서 이엉을 엮기 시작했다. 그렇게 엮은 이엉 둥치들이 마당에 그득해지면 어느 날 아침 동네 어른들이 모여들었다. 농투성이라면 이엉쯤 엮는 건 일도 아니지만, 지붕을 이는 건 혼자 할 수 있는 일이 아니었다. 이엉을 올리는 날은 작은 잔칫날이었다. 부엌에서는 새참으로 낼 음식을 만드느라 분주하고 아이들은 주전자를 들고 부지런히 막걸리를 받아 왔다.

어른들은 손발이 척척 맞았다. 두어 명은 사다리로 이엉을 올리고 몇몇은 그것을 받아 지붕에 깔았다. 그 작업이 끝나면 용마름을 덮을 차례. 용마름은 이엉이 맞닿는 마루를 덮는 것으로 초가지붕을 이는 데 가장 중요한 작업이다. 용마름이 완성되면 이엉이 바람에 날아가지 않도록 고삿(초가지붕을 일 때 쓰는 새끼)을 맨다. 지붕을 다 올리고 난 뒤 올려다보면 집 전체가 보름달처럼 환하게 빛났다.

초가는 우쭐거리지 않았다. 이만치 떨어져서 보면 둥그런 앞산·뒷산과 어찌 그리 닮았는지. 산이 지붕이고 지붕이 산이 되어 서로 얼싸안고 내닫던 풍경. 초가나 산이나 고난 속에서도 둥글둥글한 심성을 잃지 않았던 민초들을 닮았다. 초가집은 배타적이지 않았다. 생명을 품어 안을 줄 알았다. 추녀에는 참새가 둥지를 틀었으며, 업이라 불리는 구렁이가 상주하기도 했다. 오래 묵은 지붕은 굼벵이들의 삶터가 되었다.

실용적으로도 뛰어난 점이 많았다. 속이 비어 있는 볏짚은 공기를 머금고 있기 때문에 여름에는 뜨거움을 덜어 주고 겨울에는 집 안의 온기가 빠져나가는 것을 막아 준다. 그리고 볏짚은 겉이 매끄러워서 빗물이 잘 흘러내리므로 두껍게 덮지 않아도 비가 새지 않는다. 하지만 정작 중요한 건 따로 있었다. 초가집은 멀리 있어도 가슴을 따뜻하게 데워 주던 어머니의 흰머리 같은 존재였다. 때론 고향을 상징하는 깃발과도 같아서 부평초처럼 떠돌아도 항상 가슴속에서 펄럭이며 힘을 북돋아 주었다.

지금은 어디에서도 초가집을 보기 어렵다. 옛집들이 잘 보존된 민속마을을 찾아갈 수밖에 없는 이유다. ‘초가집도 없애고 마을길도 넓히고~’ 수천 년 동안 민초들을 안아 주던 초가는 1970년대 ‘새마을노래’와 함께 우르르 사라졌다. 둥그런 초가지붕이 떠나간 자리에는 울긋불긋한 함석지붕이 얹혀졌다. 편리성으로야 자주 바꿔 줘야 하는 초가지붕이 반영구적인 함석지붕을 어찌 따를 수 있으랴. 하지만 삶의 만족이 반드시 편리함만으로 좌우되는 것은 아니다.

강제적 지붕 개량이 아니었더라도 지금까지 초가집이 남아 있을 리는 없다. 해마다 갈아야 하는 불편함 때문에, 그러잖아도 일손이 없는 농촌에서 초가집을 유지할 방법이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리움은 현실을 감안하지 않고 찾아올 때가 많다. 세월이 흐른다고 초가지붕의 그 따뜻한 발색. 부드러운 곡선을 어찌 잊을까. 늦가을이면 연례행사처럼 전통마을을 찾는 이유다.
2017-09-27 30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