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익숙한 새로움’이 메가히트작 만든다

‘익숙한 새로움’이 메가히트작 만든다

입력 2017-10-13 17:54
업데이트 2017-10-13 18:1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히트 메이커스/데릭 톰슨 지음/이은주 옮김/21세기북스/508쪽/2만 2000원
40년째 새로운 시리즈를 내놓고 있는 조지 루카스의 영화 ‘스타워즈’는 ‘어디선가 본 적이 있는 것’과 ‘한 번도 본 적이 없는 것’ 사이에서 아슬아슬한 줄타기를 하며 성공한 대표적인 사례로 꼽힌다.
40년째 새로운 시리즈를 내놓고 있는 조지 루카스의 영화 ‘스타워즈’는 ‘어디선가 본 적이 있는 것’과 ‘한 번도 본 적이 없는 것’ 사이에서 아슬아슬한 줄타기를 하며 성공한 대표적인 사례로 꼽힌다.
HBO의 최고 히트작 ‘왕좌의 게임’은 조지 마틴의 베스트셀러 대작을 바탕으로 한 판타지물이다.
HBO의 최고 히트작 ‘왕좌의 게임’은 조지 마틴의 베스트셀러 대작을 바탕으로 한 판타지물이다.
20년 넘게 인기를 유지하고 있는 영화 ‘스타워즈’, 매회 시청률 경신을 기록하는 ‘왕좌의 게임’, 세계적인 베스트셀러 ‘그레이의 50가지 그림자’,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에어비앤비….

하루에도 수만 가지의 새로운 정보와 제품이 쏟아지는 지금, 세상을 사로잡은 글로벌 메가히트작의 비결은 무엇일까?

미국 저널리스트 데릭 톰슨은 ‘히트’(Hit)를 화두로 대중문화와 미디어 부문에서 엄청난 인기와 함께 상업적 성공을 거둔 다양한 콘텐츠를 분석했다. 저서 ‘히트 메이커스’에서 톰슨은 “겉으로는 우연한 결과물로 보여도 히트 상품은 몇 가지 핵심요소에 따라 결정되는 ‘과학적’ 결과물”이라며 “그 핵심요소에는 무언가를 좋아하는 사람들의 심리, 아이디어 전파 수단인 소셜네트워크, 문화시장 경제학 등이 포함된다”고 강조한다.

사람들은 친숙한 것에 끌리기 때문에 반복적 노출은 기본이다. 마네, 모네, 르누아르, 드가, 세잔, 피사로, 시슬레 등 7명을 인상파 원조로 꼽는 것은 반복적 노출의 결과다. 역시 실력 있는 화가로 인상파 그룹에서 활동했던 구스타프 카유보트는 가난한 동료 화가들을 도우려고 일부러 잘 팔리지 않을 것 같은 작품을 사들인 뒤 프랑스 정부에 유증했다. 인상파 화가들이 제대로 평가받지 않았던 시절이라 유증 작품 인수문제를 놓고 수년간 줄다리기가 벌어졌고 오랜 승강이가 오히려 대중의 엄청난 관심을 불러일으키는 역할을 했다.
하지만 친숙함만으로는 부족하다. 그보다 더 중요한 요인은 ‘친숙한 놀라움’ 혹은 ‘익숙한 새로움’이라고 톰슨은 강조한다. 그는 “대다수 소비자는 새것을 좋아하는 동시에 두려워하는 이중적인 속성을 지니고 있다”면서 “새로운 것과 기존의 것, 불안과 이해라는 양극적 요소를 적절히 결합해 의미 있는 순간을 창조할 수 있어야 최고의 히트 메이커가 될 수 있다”고 설명한다.

‘스타워즈’는 익숙함과 낯섦 사이에서 아슬아슬한 줄타기로 성공한 대표적인 사례다. ‘스타워즈’의 작가 조지 루카스는 어린 시절에 즐겨 봤던 영웅담 ‘플래시 고든’ 시리즈의 판권을 사는 데 실패하고서 직접 시나리오를 쓰기로 하고 여러 장르에서 따온 수백개의 클리셰(식상 또는 진부한 표현) 조각을 하나로 모아 우주라는 새로운 공간에서 펼쳐냈다. 어디선가 본 것 같지만 완전히 새로운 작품에 사람들은 열광했다.

1950년대를 풍미한 산업디자이너 레이먼드 로위가 정의한 ‘마야’(Most Adavnced Yet Acceptable) 원칙도 같은 맥락이다. 가장 진보적이면서도 수용할 수 있는 제품을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 마야 원칙의 핵심이다. 사람들은 과감하면서 이해할 수 있는 범주의 제품에 매력을 느낀다.

HBO의 최고 히트작 ‘왕좌의 게임’이나 ‘그레이의 50가지 그림자’ 같은 걸출한 상품도 결국은 ‘새 옷을 걸쳐 입은 오래된 이야기’이다. 여기에 ‘거대 전파자’가 등장하면서 더 막강한 파급력이 생긴 것이다. 입소문이 나면 바이러스처럼 퍼진다는 ‘바이럴 마케팅’은 다매체 시대에는 더이상 효력이 없다. 호주의 작은 출판사에서 나온 ‘그레이의 50가지 그림자’를 미국의 메이저출판사 랜덤하우스가 재출간한 덕분에 책은 40개국에서 번역출간될 수 있었고 독자 서평 사이트의 ‘파워독자’ 몇 명이 올린 서평이 큰 힘을 발휘했다. “사람들의 기호는 ‘단순과 복잡’ 그리고 새로운 것에 대한 흥분과 익숙한 것에 대한 편안함이 조합된 결과물”이라는 톰슨의 결론은 콘텐츠 생산자들이 곱씹어볼 가치가 있다.

함혜리 선임기자 lotus@seoul.co.kr
2017-10-14 19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