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한국의 낮은 청년빈곤율? 부모와 동거로 인한 착시현상

한국의 낮은 청년빈곤율? 부모와 동거로 인한 착시현상

유용하 기자
유용하 기자
입력 2017-11-07 17:07
업데이트 2017-11-07 17:0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보건사회연구원, 청년 빈곤실태 분석결과

한국 청년세대 빈곤율이 다른 나라보다 훨씬 낮다는 주장은 부모와 동거기간이 길면서 나타나는 ‘착시현상’이라는 주장이 나왔다.
이미지 확대
사진은 기사에 언급된 사례와 무관. 강성남 선임기자 snk@seoul.co.kr
사진은 기사에 언급된 사례와 무관.
강성남 선임기자 snk@seoul.co.kr
7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발표한 ‘우리나라 청년의 다차원적 빈곤실태와 함의’라는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2014년 기준 청년(18~25세) 빈곤율은 9%로 국민 전체 빈곤율인 14.4%이나 성인(26~65세) 빈곤율 9.3%, 노인(65세 이상) 빈곤율 48.8%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기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의 청년 빈곤율 평균치인 13.9%보다도 낮았다.

그러나 연구진은 취업난에도 불구하고 한국 청년빈곤율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오는 것은 부모와 함께 사는 청년들이 많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빈곤율은 가구 소득자료를 이용해 균등화한 소득으로 측정하기 때문에 부모나 동거자와 소득을 공유하고 있는 경우 경제적 능력은 과대추정될 수 있다는 것이다. 현재 국내에서 부모와 동거하는 청년층은 OECD 최고 수준인 84.6%다.

연구팀은 이 같은 착시효과를 없애기 위해서 경제력, 주거, 건강, 고용, 사회문화적자본, 안정성 6개 지표를 선정해 다차원적으로 빈곤율을 분석했다.

그 결과 전체 빈곤율은 4.5%, 청년 4.6%, 중장년 3.9%, 노인 8.9%로 나왔다.

특히 청년층은 경제력, 건강, 사회문화적 자본에서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김문길 부연구위원은 “청년이 경제력, 주거, 안정성 등의 측면에서 성인보다 취약한 것은 자연스러울 수 있지만 이런 취약성이 성인으로 안정적 이행에 장애가 될 수 있는 만큼 정책적 관심이 필요하다” 며 “청년세대가 미래에 빈곤세대로 이어질 위험을 감안해 고용 위주로 펼쳐지는 청년 정책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