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말빛 발견] 말뭉치/이경우 어문팀장

[말빛 발견] 말뭉치/이경우 어문팀장

이경우 기자
입력 2017-11-15 23:34
업데이트 2017-11-30 15:5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이경우 어문팀장
이경우 어문팀장
‘말뭉치’는 ‘말’과 ‘뭉치’로 이루어진 단어다. ‘말’도 ‘뭉치’도 낯설지 않아 ‘말뭉치’도 친근하게 다가온다. 말이 뭉쳐 있거나 모여 있는 상태이겠거니 짐작하게 된다.

‘말뭉치’는 본래 우리말 어휘 속에 들어 있던 말은 아니다. 영어 ‘코퍼스’(corpus)를 우리말로 옮기는 과정에서 생겨난 말이다. 조금은 어림잡을 수 있는 형태로 만들어졌다. 많은 전문용어들이 외국어 그대로이거나 어려운 말들로 이뤄진 것과 비교된다.

언어학에서 ‘말뭉치’는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형태로 모아 놓은 언어 자료’를 뜻한다. 즉 언어 자료를 전산화한 것이 ‘말뭉치’다. 크기는 ‘어절’로 나타낸다. ‘어절’은 문장을 구성하는 각각의 마디다. 우리말에서 띄어쓰기를 하는 단위와 일치한다. ‘나는 슬퍼서 울었다’는 3어절로 이루어진 문장이다.

인공지능의 시대에 접어들면서 말뭉치는 더욱 중요해졌다. 인공지능의 바탕에 언어가 있기 때문이다. 말뭉치는 컴퓨터가 언어를 이해하는 핵심이기도 하다.

우리나라는 ‘21세기 세종계획’이란 이름으로 1998년부터 10년간 말뭉치 구축 사업을 벌였다. 이때 2억 어절의 말뭉치를 구축했다. 이 분야에서 선발 주자였다. 이후 중단됐다가 2018년부터 5년간 155억 어절의 말뭉치를 다시 구축한다. 우리가 중단했던 사이 미국은 200억, 일본은 100억 어절을 구축했다.

wlee@seoul.co.kr
2017-11-16 29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