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교도소 공동묘지에 5·18 시신 6구 묻었다”…암매장 추정지 또

“교도소 공동묘지에 5·18 시신 6구 묻었다”…암매장 추정지 또

신성은 기자
입력 2017-11-17 13:43
업데이트 2017-11-17 15:1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검찰기록·계엄군 증언 추가 확보…발굴 박차

이미지 확대
연일 이어지는 5·18 암매장 추정지 발굴
연일 이어지는 5·18 암매장 추정지 발굴 지난 10일 광주 북구 문흥동 옛 광주교도소 북쪽 담장 주변 5·18 암매장 추정지에서 작업자들이 발굴 작업을 하고 있다. 5·18기념재단은 계엄군 지휘관이 1995년 검찰 조사에서 남긴 진술과 약도 등을 토대로 전체 길이 117m인 발굴 대상 지역을 40m씩 3단계로 나눠 5?18 행불자 유해를 찾고 있다. 2017.11.10 연합뉴스
5·18 민주화운동 당시 계엄군이 주둔했던 옛 광주교도소 곳곳에서 민간인 희생자 시신을 암매장했다는 검찰기록과 관련자 증언이 새롭게 등장했다.

5월 단체는 옛 교도소 북쪽 담장 주변에서 이뤄지는 암매장 추정지 발굴조사를 의심장소 전역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5·18기념재단은 17일 기자회견을 열고 1980년 5월 당시 광주지방검찰청 내부 기안용지와 전언통신문 등 5·18 암매장 검찰 기록을 공개했다.

기록에 따르면 검찰이 내부 보고한 5월 21일 오후 상황은 민간인 시신 6구가 교도소 공동묘지 부근에서 계엄군에 의해 임시매장됐다.

공동묘지 터는 북구 각화동에서 문흥지구로 이어지는 왕복 6차로 도로 주변 옛 교도소 외곽지역이다. 현재 발굴조사가 이뤄지는 북쪽 담장에서 100m가량 떨어져 있다.

옛 교도소 공동묘지는 무연고 사형수 시신을 매장했던 장소로 묘소 약 30기가 조성됐을 것으로 추정한다.

도로를 내면서 공동묘지 터 일부에서 굴착이 이뤄져 묘소 7기는 다른 장소로 옮겨졌다.

공동묘지 터에 남아있는 사형수 묘소에는 비석을 세웠다.

재단은 공동묘지에서 묘비 없는 유해가 나오면 5·18 당시 암매장당한 민간인 희생자의 시신일 가능성이 크다고 추론한다.

5·18 재단은 옛 교도소 공동묘지를 관리했던 퇴직 교도관과 함께 현장을 확인하고 발굴 계획을 세울 예정이다.

재단은 수십만 쪽에 달하는 5·18 관련 자료 중 암매장 대목을 최근 전수조사하면서 해당 검찰 기록을 발견했다.

이날 기자회견에서는 3공수여단 출신 퇴역군인 등 1980년 당시 광주에 계엄군으로 투입됐던 5·18 관련자들의 제보도 소개됐다.

3공수 11대대 부대대장 출신 신순용 전 소령, 본부대대에서 병장으로 전역한 유모씨 등이 현재 발굴지역은 자신들이 목격했거나 참여했던 암매장지가 아니라고 5·18재단 측에 증언했다.

이들은 조만간 재단 관계자와 옛 교도소 현장을 방문해 암매장지를 직접 지목할 계획이다.

재단은 3공수 11대대 사병으로 1980년 5월 22일에 시신 5구를 암매장했다는 이모씨 제보를 토대로 옛 교도소 남쪽 교도소장 관사 주변 소나무숲도 정밀히 조사할 방침이다.

이씨는 1989년 국회 광주특위 현장조사 때도 옛 교도소에서 암매장지로 이곳을 직접 지목했는데 당시에는 정밀한 발굴조사가 이뤄지지 않았다.

재단은 이달 15∼16일 진행한 땅속탐사레이더(GPR·Ground Penetrating Radar) 조사 결과가 오는 20일께 나올 예정이며 의미 있는 내용이 있으면 발굴지역을 확대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또 다른 암매장지로 지목된 감시탑 지하공간에 대해서는 약 20㎝ 깊이로 물이 차 있고, 관련 기록이나 추가 증언이 없어서 퇴직 교도관들을 상대로 탐문을 지속 중이라고 덧붙였다.

김양래 5·18재단 상임이사는 “발굴작업이 길어지면서 피로가 누적될 우려가 있다”며 “구체적인 기록이 있고 묻었다는 사람도 있는데 희생자 유해를 찾지 못해서 안타깝다”고 말했다.

김 상임이사는 “사회적 관심이 집중되다 보니 새로운 증언이 나오고 있다”며 “암매장에 관여한 분들의 적극적인 증언이 필요하다”고 호소했다.

5·18재단은 1980년 5월 당시 계엄군으로 투입된 3공수 지휘관이 ‘12·12 및 5·18 사건’ 검찰 조사에서 작성한 약도 등을 토대로 옛 교도소 북쪽 담장 주변을 암매장지로 지목했다.

군 기록에 따르면 민간인 27∼28명이 항쟁 당시 옛 교도소 일원에서 숨졌는데 항쟁이 끝나고 임시매장된 형태로 발굴된 시신은 11구에 불과하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