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열린세상] 혁신하는 대학의 길/배상훈 성균관대 대학혁신과 공유센터장

[열린세상] 혁신하는 대학의 길/배상훈 성균관대 대학혁신과 공유센터장

입력 2017-11-21 17:52
업데이트 2017-11-21 17:5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배상훈 성균관대 대학혁신과 공유센터장
배상훈 성균관대 대학혁신과 공유센터장
대학을 둘러싼 환경이 생각보다 급격히 변화하고 있다. 변화의 범위와 속도를 가늠하기조차 어렵다. 가만히 있어도 학생들이 몰려오던 호시절은 가고, 자신의 존재 이유와 사회적 역할을 분명히 해야만 살아남는 시대가 됐다. 새로운 요구와 책무를 외면하고 외딴섬처럼 행세했다가는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질 뿐이다. 대학이 이런 상황을 이겨 낼 길은 부단한 자기 혁신과 변화뿐이다. 문제는 과연 대학들이 이를 감당할 준비가 돼 있느냐다. 혁신을 하고 싶어도 무엇부터 어떻게 해야 하는지 모르겠다고 토로하는 대학이 적지 않기 때문이다. 대학이란 본래 연구자들의 집단이지만, 막상 대학 자신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다는 우스갯소리도 나올 법하다. 혁신하고 발전하는 대학이 되려면 무엇이 필요한가. 지난 수년간 필자의 연구팀은 대학 혁신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고 사례를 분석했다. 그 결과 ‘혁신하는 대학’의 특징에 대한 몇 가지 실마리를 찾을 수 있었다.

첫째, ‘공유의 리더십’이다. 한국 사회에서는 정치 집단이든 기업이든 우두머리가 조직을 어떻게 이끌어 가는지가 중요하다. 총장이 큰 영향력을 발휘하는 대학에서도 마찬가지다. 지금까지는 카리스마 리더십을 발휘하면서 일사불란하게 대학을 통치하는 것이 어느 정도 효과를 발휘했다. 문제는 반짝 성공에 도취해 독단의 늪에 빠지거나, 후속타를 터뜨리려는 조급한 마음에 구성원들을 다그치기 시작할 때다. 대개 이런 경우 교수와 직원들의 마음이 대학에서 멀어지는 심리적 분리 현상이 생긴다. 위기일수록 권한과 책임을 나누고, 참여적인 의사결정을 도모하는 공유의 리더십이 빛을 발한다. 총장이 권한을 나누면 대학이 산다.

둘째, ‘신뢰의 문화’다. 대학 구성원에게 내면화된 신뢰는 어떤 어려움도 함께 극복해 나가겠다는 결속 자본을 만들기 때문이다. 물론 신뢰는 하루아침에 쌓이지 않는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개방적인 의사소통이야말로 신뢰를 구축하는 첫걸음이다. 참여적 의사결정 체제로 발전하면 금상첨화라 하겠다. 연구팀이 만난 사람들은 대학이 자신의 가치를 인정하고 존중한다고 느낄수록 대학을 보다 신뢰하게 되고 헌신하겠다는 마음이 생겼다고 말했다. 대학의 인센티브 시스템을 공정하게 운영하는 것도 조직 차원의 신뢰를 쌓는 토대였다.

셋째, 대학에 깃든 ‘긍정의 문화’는 혁신의 동력이 되고 변화에 따른 피로감도 줄인다. 이는 특히 교육의 장면에서 위력을 발휘한다. 교수들은 학생의 성과 발전에 높은 기대를 가지게 되고, 이는 학습 동기를 이끌어 내어 성취를 높이는 연쇄 효과를 낳는다. 반대 사례가 집단적 냉소와 불만에 사로잡힌 대학이다. 이런 환경은 구성원의 사기를 낮추고 ‘우리도 할 수 있다’는 집단적 효능감을 형성하는 데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반면 혁신하는 대학들은 구성원이 성공의 경험을 쌓고 이를 통해 자부심을 키워 가도록 다양한 기회를 제공한다. 도전을 장려하고, 이를 뒷받침하는 마중물을 붓는 데 인색하지 않았다.

넷째, 혁신하는 대학의 구성원은 각자의 역할을 이해하고 이에 맞게 행동하는 특징을 보였다. 대학에는 교수와 직원, 원로 교수와 신임 교수 등 다양한 관계와 역할이 있다. 대학 조직과 캠퍼스 공동체가 자신에게 기대하는 바를 인식하고, 맡은 책임을 다하는 모습이야말로 혁신하는 대학의 특징이다. 특히 원로 교수와 신임 교수들이 대학의 성장과 공동체의 발전이라는 목적을 공유하면서 협력해 가는 ‘연대감과 동료 의식’이 돋보였다. 마지막으로 혁신을 지향하는 대학은 학습 조직의 모습을 보였다. 대학의 구성원들이 각자의 지식과 경험을 공유하는 공식 모임과 비공식 활동이 많았다. 개인의 지식과 정보가 대학이라는 조직과 공동체에 차곡차곡 쌓이고, 이는 다시 조직이 당면한 문제를 함께 해결하는 집단 지성과 역량으로 발전하고 있었다.

대학은 느슨하게 연결된 전문가들의 집단이다. 하지만 대학은 하나의 유기체 조직이다. 조직 차원에서 역량을 기르고, 캠퍼스 공동체는 나름의 문화와 풍토, 가치 체계를 갖는다. 다가올 위기를 기회로 만들고 부단한 혁신으로 변화와 성공을 모색하려는 대학은 조직의 힘을 키워야 한다. 소수 몇 사람의 경험과 통찰에 기대어 대학을 이끌어 가는 시대는 저물고 있다.
2017-11-22 30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