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말빛 발견] 명태/이경우 어문팀장

[말빛 발견] 명태/이경우 어문팀장

이경우 기자
입력 2017-12-13 23:12
업데이트 2017-12-14 00:5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이경우 어문부 전문기자
이경우 어문부 전문기자
“…시인이/밤늦게 시를 쓰다가 쇠주를 마실 때/그의 안주가 되어도 좋다/그의 시가 되어도 좋다/짜악 짝 찢어져 내 몸은 없어질지라도/내 이름만은 남아 있으리라/명태, 명태라고…”(양명문, ‘명태’)

노래가 된 시처럼 명태는 곳곳에 이름을 새겼다. 세상 어느 물고기보다 많은 이름을 퍼뜨렸다. 이름은 또 다른 이름을 낳았고, 삶터는 그에 맞게 새로운 별명을 갖게 했다. 시 속 외침처럼 명태로만 남기는 어려워졌다. 검푸른 바다 밑에 있을 때는 ‘명태’였지만, 바다 밖으로 나오는 순간부터 다른 이름들로 불려 왔다.

갓 잡아 싱싱한 ‘선태’, 얼리거나 말리지 않은 ‘생태’, 얼린 ‘동태’, 반건조한 ‘코다리’, 말린 ‘북어’, 얼부풀어 더덕처럼 마른 ‘황태’, 너무 추워 하얗게 된 ‘백태’, 겨울 날씨가 따뜻해서 검게 된 ‘먹태’ 혹은 ‘찐태’, 얼지 않고 말라 버리는 바람에 딱딱해진 ‘깡태’, 소금에 절여 말린 ‘짝태’, 알을 낳은 뒤 잡힌 ‘꺽태’, 알을 밴 상태에서 잡힌 ‘난태’, 낚시로 잡은 ‘낚시태’, 그물로 잡은 ‘망태’, 봄에 잡은 ‘춘태’, 가을에 잡은 ‘추태’, 겨울에 잡은 ‘동태’, 늦봄 마지막에 잡은 ‘막물태’, 함경도 연안에서 잡힌 작은 ‘왜태’, 새끼 명태 ‘노가리’….

이름은 대상이나 현상을 이해하는 도구가 된다. 올바른 이름은 가치를 왜곡하지 않는다. 어울리는 이름은 사실을 투명하고 소박하게 한다. 명태의 이름이 많아진 이유가 아닐까.

wlee@seoul.co.kr
2017-12-14 29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