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말빛 발견] ‘본’ 협회/이경우 어문팀장

[말빛 발견] ‘본’ 협회/이경우 어문팀장

입력 2017-12-27 21:04
업데이트 2017-12-27 21:5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이경우 어문부 전문기자
이경우 어문부 전문기자
‘본 협회’류는 보거나 들을 때마다 거부감이 있다. 조금 낡았다. 이게 가장 큰 이유일 것이다. 낡았다는 것은 일상적이지 않다는 것과 통하고, 소통이 덜 된다는 말이기도 하다.

그런데도 여러 공간에서 ‘본’들은 왕성하게 쓰인다. 전통과 관습과 보이지 않는 형식이 뒷받침한다. 이 틀에서 벗어나려면 큰 힘이 필요하다. 지금까지 탈 없이 잘 써 왔고, 나름 괜찮은 전통이라고 여기는 생각이 있기 때문이다.

‘본 협회는’, ‘본 연구에서는’, ‘본 프로그램은’, ‘본 입찰과 관련하여’…. 이 ‘본’들은 장롱 안쪽에 있던 예복 같은 말들이기도 하다. 예복이 그러한 것처럼 격식을 갖추거나 특별한 일이 있을 때 꺼낸다. 그러면 뒤의 말들은 살짝 장막을 드리운 것같이 흐릿해진다. ‘본 협회’들에는 무게와 엄격함이 씌워진다. 그러나 세상은 무겁게 받아들이지 않는다. 대신 칙칙하거나 어울리지 않는다고 본다.

‘본 협회’보다 ‘우리 협회’, ‘본 프로그램’보다 ‘우리 프로그램’ 혹은 ‘이 프로그램’이라고 하는 예가 더 많다.

그럼에도 ‘본’을 쓰는 데는 권위와 품위도 있다. 더 권위 있는 기관이고 연구이고 싶은 속내가 있다. ‘이 연구’는 ‘본 연구’보다 가볍다고 여긴다. 행사장의 말과 연구기관 보고서의 글에서는 ‘본’이 일상이겠지만, 대중과 접하는 자리로 나오면 낡은 것이 되고 만다.
2017-12-28 29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