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발령낼 초등교사 없다는데…교대 정시경쟁률 또 상승

발령낼 초등교사 없다는데…교대 정시경쟁률 또 상승

강주리 기자
강주리 기자
입력 2018-01-10 17:42
업데이트 2018-01-10 17: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서울교대 2.13대1→3.48대1…2010년 이후 최고

바늘구멍인 초등학교 임용시험에 합격해도 저출산 속 줄어드는 아이들과 함께 발령 받지 못하는 초등학교 임용대기자가 공립만 올해 2000명이 넘을 예정이지만 교육대학을 향한 수험생들의 ‘선생님의 꿈’은 정시 경쟁률에서 또 다시 상승했다. ‘교원 임용절벽’ 사태에도 전국 교대 정시 경쟁률은 2.7대1에 육박했고 서울교대는 3.5대1로 2010년 이후 최고 경쟁률을 보였다. 지난해 역대 최고 청년실업률(9.9%) 등 불안한 고용 시장에서 임용대기를 하더라도 안정적인 교사 자격증을 확보해놓는게 더 유리하다는 판단을 한 것으로 보인다.
“그래도 교사를” 임용절벽에도 교대 정시 경쟁률 또 상승
“그래도 교사를” 임용절벽에도 교대 정시 경쟁률 또 상승 지난해 8월 4일 서울 종로구 서울교육청 앞에서 서울교대와 이화여대 초등교육과 학생 700여명이 2018학년도 초등교사 선발 인원 대폭 축소에 반발해 항의 시위를 벌이고 있다. 손형준 기자 boltagoo@seoul.co.kr
10일 각 교대와 종로학원하늘교육의 ‘2018년도 전국 교대 정시모집 경쟁률’에 따르면 전국 10개 교대(모두 ‘나’군) 정시 원서접수 마감 결과, 일반전형 평균 경쟁률이 2.67대 1로 2017학년도 2.52대 1보다 소폭 높아졌다.

올해 10개 교대 정시 일반전형 모집정원은 1872명으로 올해연도(2031명)보다 7.8% 포인트(159명) 줄었다.

대학별로는 서울·경기 지역과 광역시 소재 7개 교대는 경쟁률이 높아진 반면 충청·강원권 3곳은 낮아졌다.

서울교대는 지난해 2.13대 1에서 올해 3.48대 1을 기록해 2010학년도 이후 최고 경쟁률을 기록했다. 올해부터 학생부 교과 성적을 반영하지 않고 교원 임용 시 지역가산점 제도가 늘어나는 점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앞서 정부는 지역 간 교원 수급 격차 완화를 위해 초등 임용시험 지역가산점(현행 3점)을 2019학년도부터 6점(타지역 교대 3점, 현직 교원 0점)으로 올렸다. 또 교육공무원 임용후보자 선정 경쟁시험 규칙을 개정해 1차 시험에만 반영되던 지역가산점을 2차 시험에도 반영할 계획이다.

지역교대 가운데 경인교대 경쟁률은 2.67대 1, 부산교대 2.24대 1, 광주교대 2.31대 1, 대구교대 2.44대 1, 전주교대 2.25대 1, 진주교대 2.38대 1로 상승했다.

반면 청주교대는 올해 3.28대 1, 춘천교대 4.04대 1, 공주교대 2.23대 1로 소폭 떨어졌다. 이들 3개 교대 경쟁률 하락은 지역가산점 확대에 따라 서울, 경기 등으로 진입하기 어려운 점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임용절벽이지만 전국 교대 정시 경쟁률 또 상승
임용절벽이지만 전국 교대 정시 경쟁률 또 상승 충남 공주교대 학생들이 지난해 9월 정부세종청사 교육부 앞에서 중장기 교원수급정책 마련과 학급당 학생수 감축을 요구하고 있다. 이날 공주교대 학생 900여명은 릴레이 동맹 휴업에 동참하면서 교육부에 “정책 수립 과정에서 예비 교사들과 소통하라”고 주장했다. 한편 지난해 교원 임용절벽에도 2018학년도 교육대학 정시 경쟁률은2.7대1로 또 상승했다.
연합뉴스
오종운 종로학원하늘교육 평가이사는 “교대 정시 경쟁률 상승에는 모집정원 감소, 국수탐 상위권 분포가 늘어난 점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노웅래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교육부를 통해 각 시·도 교육청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현재 공립 초등교사 임용대기자는 2344명에 달했다. 이 중 41명은 재작년에 시험에 붙고도 아직 임용대기자 신세를 졌다. 2년 넘게 사실상 실업자 상태로 있다는 얘기다.

문제는 앞으로 임용대기자 1년간 9% 밖에 줄지 않을 예정이어서 교단에 서지 못하는 예비 교사 수는 점점 늘어날 전망이다. 임용대기는 최장 3년까지 가능하며 이후에도 발령이 안 되면 합격이 취소된다.

강주리 기자 jurik@seoul.co.kr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