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집에서 살림해요” 육아·가사 전담 남성 17만명 역대 최고

“집에서 살림해요” 육아·가사 전담 남성 17만명 역대 최고

강주리 기자
강주리 기자
입력 2018-01-17 09:05
업데이트 2018-01-17 09:0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난해 집에서 아내를 대신해 육아와 가사를 전담하며 집안 살림을 하는 남성이 17만명으로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집안일만 하는 여성은 4년 연속 감소했다. 남성은 바깥일, 여성은 집안일만 한다는 고정관념이 무너지고 있다는 것이 통계로 확인된 셈이다.
이미지 확대
한 달짜리 출산휴가를 신청해 아이를 돌보고 있는 김동국 위메프 대리가 생후 100일을 앞둔 딸이 함박웃음을 짓자 즐거워하고 있다. 남성 직장인의 육아휴직 비율이 점차 늘어나는 추세다. 하지만 여전히 많은 직장인들은 휴직으로 인한 불이익을 우려하는 게 현실이다. 강성남 선임기자 snk@seoul.co.kr 기사내용과 직접 관련은 없습니다.
한 달짜리 출산휴가를 신청해 아이를 돌보고 있는 김동국 위메프 대리가 생후 100일을 앞둔 딸이 함박웃음을 짓자 즐거워하고 있다. 남성 직장인의 육아휴직 비율이 점차 늘어나는 추세다. 하지만 여전히 많은 직장인들은 휴직으로 인한 불이익을 우려하는 게 현실이다.
강성남 선임기자 snk@seoul.co.kr
기사내용과 직접 관련은 없습니다.
17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비경제활동인구 중 육아·가사를 하는 남성은 모두 17만명으로 기준을 새로 정립한 2003년 이후 최대를 기록했다.

가사활동에 전념하는 남성은 16만 6000명, 육아에 올인하는 남성은 4000명으로 조사됐다.

전업 육아·가사 남성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조사 첫 해인 2003년 10만 6000명에서 2015년 15만명, 2016년 16만 1000명, 지난해 17만명까지 늘었다.

증가세는 가사 전담 남성이 주도하고 있다. 통계청은 초등학교 입학 전인 미취학 아동을 돌보기 위해 집에 있는 이를 ‘육아’로 구분하고, 이외에 가정에서 가사를 하는 사람을 ‘가사’로 분류했다.
노르웨이에서는 남성들이 일을 쉬며 육아에 전념하는 게 자연스러운 현상이 됐다. 전 세계에서 처음으로 1993년 육아휴직 아빠할당제를 도입한 덕이다. 아이가 태어났을 때 남편이 4주 동안 육아휴직을 가지 않으면 아내도 육아휴직을 못 가도록 강제했다. 아빠할당제 기간은 꾸준히 늘어나 2011년 14주로 늘어났다. 노르웨이 노동부 제공
노르웨이에서는 남성들이 일을 쉬며 육아에 전념하는 게 자연스러운 현상이 됐다. 전 세계에서 처음으로 1993년 육아휴직 아빠할당제를 도입한 덕이다. 아이가 태어났을 때 남편이 4주 동안 육아휴직을 가지 않으면 아내도 육아휴직을 못 가도록 강제했다. 아빠할당제 기간은 꾸준히 늘어나 2011년 14주로 늘어났다.
노르웨이 노동부 제공
그 결과 전담 육아를 하는 남성은 2015년 8000명, 2016년 7000명, 지난해 4000명으로 다소 줄었지만 가사만을 하는 남성은 2015년 14만 2000명, 2016년 15만 4000명, 지난해 16만 6000명으로 급증했다.

반대로 육아·가사만을 하는 여성수는 지난해 694만 5000명으로 4년 연속 줄고 있다. 전담 육아·가사 여성수는 2014년 714만 3000명으로 처음 줄어든 뒤 2015년 708만 5000명, 2016년 704만 3000명, 작년 694만 5000명으로 감소했다.

특히 육아·가사 여성의 수가 600만명대로 되돌아간 것은 2009년(699만 9000명) 후 8년 만이다.

육아와 가사에 전념하는 남성 수가 증가하고 여성 수가 감소하는 이유는 고령화가 대표적으로 꼽힌다. 통계청은 “은퇴 후 일을 하지 않고 집 안에 있는 남성이 가사를 전담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30대 여성을 중심으로 고용률이 늘고 있는 점도 이런 현상을 뒷받침하는 요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지난해 상반기 30대 여성 고용률은 59.2%로 관련 통계 작성을 시작한 1999년 이래로 반기 기준으로 가장 높다.

정성미 한국노동연구원 전문위원은 “만혼·비혼 추세가 이어지면서 육아·가사로 빠지는 여성 30대가 노동시장으로 대거 진출하는 동시에 은퇴세대 여성의 취업도 늘고 있다”며 “성 역할 평등에 대한 사회적인 분위기 변화도 무시할 수 없는 원인”이라고 분석했다.

강주리 기자 jurik@seoul.co.kr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