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뉴스 전에 책이 있었다] 문학 작품 읽기 사람과 세상을 이해하는 길

[뉴스 전에 책이 있었다] 문학 작품 읽기 사람과 세상을 이해하는 길

입력 2018-03-09 20:40
업데이트 2018-03-09 21:4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작가 얀 마텔이 한국 대통령에게 보낸 편지

각하, 문학을 읽으십시오
이미지 확대
2017년 3월 10일, 꼭 1년 전 오늘 헌법재판소는 “재판관 전원일치된 의견으로 피청구인 박근혜를 파면한다”며 탄핵 인용을 결정했다. 그사이 국정농단의 핵심 박근혜 전 대통령은 검찰로부터 30년형을 구형받았다. 또 한 명의전직 대통령이 검찰 포토라인 앞에 설 것으로 보인다. 각종 구설에 오르내리는 이명박 전 대통령이 그 장본인이다. 한국 역대 대통령들이 퇴임 후 바람 잘 날 없는 시절을 보내는 이유는 제왕적 대통령제 탓이 크다. 권력이 집중될수록 책임도 무거워지는데, 책임은 방기한 채 권력 사용에만 매몰되기 때문이다.
이미지 확대
혹자는 대통령의 ‘인문적 소양’을 문제 삼기도 한다. 권력 사용에 앞서 수신(修身)과 제가(齊家)에 힘써야 하는데, 그 밑바탕은 결국 인문적 소양에서 나온다는 것이다. 인문적 소양을 기르는 최선의 방책은 책인데, 하여 대통령에게 책읽기를 권하는 각양각색의 책들이 여러 권 출간되었다. 가장 눈에 띄는 책은 세계적인 베스트셀러 ‘파이 이야기’의 작가 얀 마텔이 쓴 ‘각하, 문학을 읽으십시오’이다.
이미지 확대
장동석 출판평론가·뉴필로소퍼 편집장
장동석 출판평론가·뉴필로소퍼 편집장
마텔은 2007년 4월부터 2011년 2월까지 격주로 당시 캐나다 총리 스티븐 하퍼에게 한 권의 책과 편지 한 통을 보냈다. 무려 101통이나 되는 편지에는 책의 내용과 평을 담았는데, 문학 작품을 읽는 것이 지도자에게 어떤 의미를 지니는가를 내내 강조한다. 하퍼 총리는 집권 당시 이렇다 할 실정은 하지는 않았다. 그럼에도 마텔이 문학을 권한 이유는 “문학을 읽으십시오. 그것이 사람과 세상을 이해하는 길입니다”라는 두 문장 속에 집약되어 있다. ‘각하, 문학을 읽으십시오’에서 마텔은 ‘동물농장’, ‘앵무새 죽이기’, ‘노인과 바다’ 등 비교적 친숙한 책부터 ‘바가바드기타’, ‘길가메시’ 등 심오한 사상과 철학을 담은 책들을 열거한다.

그중 펄 벅의 ‘대지’를 일러 “책을 덮어야 할 때마다 안타까워하며 만사를 제쳐 두고 다시 돌아가고 싶은 소설”이라고 상찬한다. 특히 헤밍웨이나 포크너처럼 두고두고 독자들에게 기억되지 못했음을 안타까워하는데, ‘대지’가 현대 독자들에게 잊혀진 이유가 ‘보편성‘이 결여되었기 때문이다. 어떤 작품이든 “문학적 불멸성을 얻으려면 보편성이 거의 필수 조건”인데 ‘대지’는 지나치게 지엽적이라는 지적이다. 마텔이 보편성을 강조한 이유를 에둘러 짚어 보자면, 국민 모두까지는 아니어도 많은 사람이 공감하는, 즉 보편성을 담보한 정책을 펼치기 바라는 마음 때문일 것이다. ‘각하, 문학을 읽으십시오’가 국내 출간된 것은 2013년 5월로, ‘박근혜 대통령께, 캐나다 작가 얀 마텔이 드립니다’라는 한국판 서문이 첨가되어 있다. 그중 한 대목이다.

“대통령님이 위대한 대통령의 반열에 올라서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조언하자면, 소설이나 시집 혹은 희곡을 항상 침대 옆 작은 탁자에 놓아두는 걸 잊지 마십시오. (…) 현재의 순간에서 벗어나지 못하면, 광적인 정치적 상황에서 벗어나지 못하면, 대통령님이 진정으로 무엇을 하기를 바라고 어느 방향으로 가야 하는지 냉철하게 판단하기 힘듭니다. 그렇기에 독서가 필요한 것입니다. 픽션을 읽으십시오. 그것이 새로운 세계를 꿈꾸는 하나의 방법입니다. 모든 정치인이 원하는 것이 새로운 세계, 더 나은 세계를 이룩하는 것이 아니었습니까?”

마텔이 띄운 편지는 특정 인물에게만 보내진 것이 아니다. 고전의 광대무변한 세계를 맛보고 싶은, 더불어 새로운 세계를 꿈꾸는 하나의 방법을 찾고자 하는 모든 이들에게 ‘각하, 문학을 읽으십시오’는 읽어봄 직한 책이다.

장동석 출판평론가

2018-03-10 19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