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특파원 생생 리포트] 납골함·무덤까지 나눠 공유하는 日

[특파원 생생 리포트] 납골함·무덤까지 나눠 공유하는 日

이석우 기자
입력 2018-03-30 17:46
업데이트 2018-03-30 19:1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고령화와 소자화(핵가족) 물결 속에서, 일본의 장례 및 장묘 형태도 달라지고 있다. 장례를 가족 친지들만 모여서 치르는 가족장이 도시에서 전체의 절반을 넘어서는 등 장례의 간소화가 빠르게 확산하고, 여러 형태의 장묘 형태도 선보인다.가족도 아니고, 혈연관계도 없는 사람과도 죽어서 유골을 함께 섞어 같은 분묘, 같은 납골함에 안치하는 ‘납골함 셰어링’(나눠 쓰기), ‘무덤 공유’까지 등장했다. NHK는 최근 도쿄 아라카와구에 있는 정토진종(淨土眞宗) 사찰인 마치야고묘지(町屋光明寺)가 납골함 셰어링을 한다고 전했다.
지난해 11월 사찰 경내에 세워진 5층짜리 납골당 빌딩.
지난해 11월 사찰 경내에 세워진 5층짜리 납골당 빌딩.
●도쿄 사찰에 납골당 빌딩 생겨… 최대 6명 함께 안치

지난해 11월 사찰 경내에 세워진 5층짜리 납골당 빌딩에 1500구획으로 나눠진 유골 수납공간이 마련됐다. 친구들 묘지란 뜻의 ‘도모바카’(友墓)로 불리는 이곳에서는 혈연관계가 없는 사람도 최대 6명까지 같은 납골함·납골묘에 안치된다. 따로 장례를 치른 유골을 한데 보관하는 합장 형태다. 사찰 측은 유골관리와 함께 제사도 대행한다.

NHK는 “가족이 아니더라도 진짜로 마음 맞는 사람과 함께 같은 납골함, 납골 분묘에 들어가고 싶어 하는 사람들이 많이 이용한다”고 전했다. 남편과 같이 안치되길 원하지 않는다며 진저리치는 부인네들도 있고, 가족과 같은 공간에 들어가기를 거부하는 ‘가족 거부파’들도 이용하고 있다. 연고가 없는 ‘무연고파’도 있다.

핵가족화 확산 속에서 가족관계가 소원해지고 나 홀로 살아가는 ‘일인 가족’도 크게 늘면서, 피는 섞이지 않았어도 살아생전 가깝게 지내고 정을 나눠 오던 사람들이 죽어서도 함께 한 공간 속에서 안식을 취하겠다며 이 납골함 셰어링을 선택하고 있다.

“결혼은 안 했지만, 죽어서는 혼자 무덤에 들어가기 싫다. 그렇다고 남성은 싫고, 분묘에 마음 맞는 여자 친구들끼리 함께 들어가고 싶다”는 한 미혼 여성의 말이 이 사찰의 납골 셰어링의 발단이 됐다.

●밤샘 없는 1일장·고별식 없이 화장만 하는 ‘직장’

오호라 주지는 동호인 모임에서 친목을 다져온 이들이나 성적소수자 등의 수요도 있다고 봤다. 그는 NHK에 “현대사회는 집이나 가족관계에 얽매이고 싶지 않은 사람이 늘고, 안장 형태도 다양해지고 있다. 장묘 형태도 취미 등과의 연계를 중시하는 시대가 올 것으로 봤다”고 말했다.

한편 장례 관련 사이트를 운영하는 가마쿠라 신서는 고령화, 소자화 진전 속에서 장례를 치를 사람도, 무덤을 돌볼 사람도 줄고, 여력이 줄어드는 상황에서 장례 비용절감과 간소화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고 밝혔다. 2017년 기준으로 가족장이 38%까지 늘었고, 도쿄 등 대도시에서는 절반을 넘고 있다는 조사 결과도 내놓았다. 가족장은 일반 장례에 비해 경비가 30% 이상 적게 들어 부담이 적다는 점에서 선호가 는다는 분석이다. 밤샘 없는 1일장도 전체 장례의 4.4%, 고별식 없이 화장만 하는 직장(直葬)도 4.9% 등 이전에는 상상도 할 수 없던 장례 형태들이 자리잡아 가고 있다.

도쿄 이석우 특파원 jun88@seoul.co.kr
2018-03-31 16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