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말빛 발견] 두음법칙/이경우 어문팀장

[말빛 발견] 두음법칙/이경우 어문팀장

이경우 기자
입력 2018-04-18 20:48
업데이트 2018-04-18 21:0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이경우 어문부 전문기자
이경우 어문부 전문기자
‘로인’보다 ‘노인’, ‘력사’보다 ‘역사’, ‘녀자’보다 ‘여자’가 익숙하고 발음하기도 편하다. 단어 첫머리에 ‘ㄹ’이나 ‘ㄴ’ 대신 ‘ㅇ’이 오는 게 편리한 것이다. 우리말이 본래 ‘ㄴ’과 ‘ㄹ’이 첫머리에 오는 걸 꺼리는 현상이 있다고 한다. 그래서 두음법칙이 생겼다는 것이다.

이런 현실은 맞춤법에도 그대로 반영돼 있다. 그런데 두음법칙은 맞춤법의 ‘어법에 맞도록’ 원칙과는 엇나간다. 어법이 아니라 ‘소리대로’ 적는 것이 된다. 어법대로라면 본래 형태대로 적는 것이어야 한다. 하나의 말에 두 가지 원칙이 적용되는 것이다. 첫소리일 때는 ‘노’가 되고, 그렇지 않을 때는 본래 음대로 ‘로’가 된다.

두음법칙은 쉽지 않을 때도 있다. ‘구름양’이고, ‘열량’이 된다. ‘구름’처럼 순우리말 뒤에서는 두음법칙이 적용되지만, ‘열’처럼 한자어 뒤에서는 두음법칙이 적용되지 않는다. 외래어 뒤에서도 마찬가지여서 ‘칼슘양’이 된다.

‘라면’, ‘뉴스’처럼 외래어에서는 두음법칙이 비켜간다. 이 말들은 발음을 하는 데도 무리가 가지 않는다. 외래어가 많이 들어오면서 생긴 현상이다. 고유어에도 두음법칙은 해당되지 않는다. 성씨도 ‘류’, ‘림’, ‘라’로 적을 수 있다. 북녘에서는 원칙적으로 두음법칙을 인정하지 않는다. 한 글자는 하나의 표기여야 한다고 보는 것이다. 남북의 맞춤법 논의에서 가장 풀기 어려운 내용이다.
2018-04-19 29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