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씨줄날줄] 전문경영인/김균미 수석논설위원

[씨줄날줄] 전문경영인/김균미 수석논설위원

김균미 기자
입력 2018-04-23 22:40
업데이트 2018-04-23 22:5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이 두 딸의 ‘갑질 논란’에 사과문을 발표하고 대한항공에 전문경영인 체제를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대한항공은 전문경영인 체제가 제대로 돌아가겠느냐는 회의적 반응에 23일 “지켜봐 달라”고 했지만, 반신반의하는 분위기가 역력하다. 기시감 때문이 아닐까.
그동안 대기업 오너나 오너의 자제들이 불미스러운 일에 휩싸여 논란이 커질 때면 등장하는 카드가 ‘전문경영인 체제’였다. CJ나 삼성전자처럼 오너의 구속 수감으로 경영 공백을 메우기 위해 전문경영인 체제가 가동된 곳도 있지만 성추문이나 막말, 폭행 등 각양각색의 갑질 논란으로 재벌 2·3세가 경영 일선에서 물러나 있는 경우도 많았다. 여론이 잠잠해지면 슬그머니 경영에 복귀해 언제 그랬느냐는 듯 활동해 온 것이 사실이다. 또 전문경영인 체제는 자녀에게 경영권을 승계하기 위한 징검다리로 활용되는 경우가 허다해 대기업들 발표를 곧이곧대로 믿는 사람은 드물다.

전문경영인 체제가 ‘오너 경영’보다 반드시 낫다고 할 수는 물론 없다. 외국에서도 창업주의 후손이 최고경영자가 되는 경우가 적지 않다. 하지만 오너의 가족이라는 이유만으로 경영권을 물려받는 사례는 드물다. 도덕성과 경영 능력을 인정받은 이들이 공정한 경쟁을 통해 후계자로 지명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렇지 않으면 대주주 자격으로 경영진을 견제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 우리와 다르다.

우리나라에 전문경영인 체제를 사실상 처음 도입한 기업은 1926년 창립한 제약회사 유한양행이다. 창업주인 고 유일한 박사는 ‘기업의 소유주는 사회다’라는 신념으로 1969년 주주총회에서 경영권을 당시 조권순 전무에게 승계한 뒤 거의 50년간 평사원 출신 중에서 대표를 선임하고 있다. 올 1월 ‘바른 먹거리’를 표방해 온 풀무원이 33년간의 오너 경영을 접고 1기 공채 출신의 전문경영인에게 경영권을 넘겨 사회적 반향을 일으켰었다. 남승우(66) 전 대표이사는 만 65세가 되는 2017년을 끝으로 자식이 아닌 전문경영인에게 경영권을 승계하겠다던 1년 전 약속을 지켰다.

조양호 회장이 밝힌 전문경영인 체제 도입이 행여라도 갑질 논란에서 비롯된 위기를 모면하기 위한 임시방편이 아니길 바란다. 신설한 전문경영인 부회장직에 조 회장의 측근인 석택수 한진칼 대표이사가 보임돼 벌써 회장과 장남 조원태 사장의 눈치를 보지 않고 소신껏 경영을 할 수 있겠느냐는 회의적 시각이 팽배하다. 무늬만 전문경영인 체제는 아니 한만 못하다.

kmkim@seoul.co.kr
2018-04-24 31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