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한필원의 골목길 통신] 인구감소시대, 소멸하지 않는 지방 도시가 되려면

[한필원의 골목길 통신] 인구감소시대, 소멸하지 않는 지방 도시가 되려면

입력 2018-06-01 17:38
업데이트 2018-06-01 17:4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한필원 한남대 건축학과 교수
한필원 한남대 건축학과 교수
머지않아 지방의 도시들이 사라질 것이라는 흉흉한 이야기가 들린다. 도시 인구가 줄기 때문에 어쩔 수 없다며 진단만 요란하고 그럴싸한 대책은 들리지 않는다. 필자 같은 지방 주민의 불안이 커 갈 수밖에 없다. 실제로 지방에 있는 소도시의 도심이나 대도시의 원도심에는 빈터가 늘고 있으니, 지방 도시들은 아직 통째로 없어지지는 않았지만 이미 크게 위축되고 있다. 온갖 풍상을 겪으며 길게는 천 년 이상, 짧아도 수백 년 동안 발전해 온 오래된 도시가 힘을 잃고 약해져 가는 모습은 가지들이 하나 둘 윤기를 잃고 삭정이가 돼 가는 고목을 보는 것만큼이나 애처롭다.

이런 지방 도시들이 생기를 되찾고 회생하려면 도시화의 과정을 거꾸로 밟는 것이 불가피해 보인다. 곧 교외를 전원으로 되돌리고 도심을 작지만, 활기 있게 재구성해야 한다. 그런데 도심의 활기와 자립성은 거주자 없이 생기지 않는다. 도심 거주는 도시 생존의 필수 조건이며 도시 활동의 활성화에도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 하지만 최근 통계청은 지금같이 낮은 출산율이 계속되면 4년 뒤인 2022년에 우리나라의 전체 인구가 감소하기 시작할 것이라는 예상을 내놓았으니, 도심에 거주자들을 불러들여 생동감 있는 곳으로 만들기란 참으로 어려운 일임이 분명하다.

도심이 거주 공간으로서 매력을 갖춘다면 주민이 늘거나 적어도 더 줄지는 않으리라. 그럼 도심이 지속 가능한 거주 공간이 되려면 어떤 조건을 갖추어야 할까? 이에 대한 대답은 우리가 전원에 살면 얻을 수 없지만 도심에 살면 기대할 수 있는 것이 무엇일까 생각해 보면 쉽게 얻어진다. 문화를 누리는 편리한 생활이 그것이다. 그러나 도심에 살겠다고 선뜻 결정하는 이는 많지 않다. 도심 거주에는 결정적으로 불리한 점이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도심은 자연환경에서 멀리 있고 오염이나 소음 등으로 생활환경과 조건이 나쁘다는 생각 말이다. 지난 세기 대도시의 무절제한 개발과 재개발로 많은 사람에게 도심이란 안전하고 쾌적하며 건강한 생활을 영위하기 어려운 곳이라는 이미지가 각인돼 있다.

이러한 문제에 대해 동아시아의 역사 도시를 연구해 온 필자가 내놓는 해법은 간단하다. 도심이 큰 가로들로 경계 지어진 블록들로 구성됐다고 가정할 때 상업, 업무, 서비스, 문화 등 주거 이외의 용도는 가로변의 대지에 한정시키고 블록의 안쪽 부분에는 주거 용도만 허용하자는 것이다. 이는 고대부터 가로의 선(線)과 그 안쪽의 면(面)으로 조성돼 온 동아시아 역사 도시의 이원적 공간구조를 계승해 도시를 효율적으로 구성하는 방법이다.

주거 이외에 도시에 필요한 다양한 용도들은 이미 가로에 면한 대지에 서 있는 건물을 그대로 사용하거나 리모델링해 수용한다. 필요하면 낮은 건물을 철거하고 고층 건물을 새로 지어 그런 도시 기능을 좀더 많이 담아 낼 수도 있다. 한편 가로 안쪽의 공간에는 그 도시 특유의 저층 친환경 주택과 나무와 물로 구성되는 친환경 마을을 조성해 조용하고 안전하고 건강한 공동체의 생활공간을 조성한다. 현재 도심에 남아 있는 주택들은 대부분 친환경 성능이 부족하니 리모델링을 통해 환경 성능을 개선하거나 아예 다시 지을 필요가 있겠다.

또는 도시의 정체성을 잃지 않도록 그 도시에 어울리는 주택 유형을 선택해야 한다. 오래전부터 그 도시에 존재한 주거지의 구조를 면밀히 살피면 지역의 자연조건에 순응하는 친환경 마을 만들기를 위한 지침을 얻을 수 있다. 거주 환경에 큰 영향을 미치는 주차 공간은 마을 외곽, 곧 가로변 건물과 마을 공간 사이에 설치하고 마을 내부는 보행 전용 공간으로 조성한다. 그리고 도시마다 가로 안쪽의 한두 블록 정도는 관광객들이 일정 기간 머무를 수 있는 게스트하우스 마을로 만들어도 좋다. 앞으로 지방 도시의 경제는 결국 관광에 기댈 수밖에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이렇게 재구성된 도시는 인구감소시대 지방이어도 더는 약해지지 않으리라. 도심의 마을에 거주하며 집 앞 큰 길가에 있는 자신의 상점이나 사무실로 걸어서 출근하는 모습, 사람뿐 아니라 도시도 평화롭고 건강하고 아름다운 모습을 그려 본다.
2018-06-02 22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