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백제 왕릉급 벽돌무덤, 80년만에 다시 출현

백제 왕릉급 벽돌무덤, 80년만에 다시 출현

강경민 기자
입력 2018-06-07 10:41
업데이트 2018-06-07 10:4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공주서 1939년 이후 재확인…길이 7m 석단 시설도 조사

이미지 확대
백제 왕릉급 벽돌무덤, 80년 만에 다시 출현
백제 왕릉급 벽돌무덤, 80년 만에 다시 출현 공주시와 공주대박물관이 충남 공주시 교동 252-1번지 일원에서 시굴조사와 발굴조사를 통해 1939년 사이토 다다시(齊藤忠)와 가루베 지온(輕部慈恩)이 조사한 결과 미완성 무덤이라고 규정한 백제 교촌리 전축분을 다시 찾았다고 7일 전했다. 교촌리 전축분(사진)은 무령왕릉처럼 터널형 구조를 갖춘 것으로 조사됐다. 묘광(墓壙?무덤 구덩이)은 가로 3m?세로 6.1m?높이 2m이며, 묘실은 가로 1.9m?세로 3.4m?높이 1.6m다. 2018.6.7 공주대박물관 제공=연합뉴스
일제강점기 발굴조사 이후 80년 가까이 정확한 위치를 잃어버린 웅진도읍기(475∼538) 백제시대 전축분(塼築墳·벽돌무덤)이 다시 모습을 드러냈다.

공주시와 공주대박물관은 충남 공주시 교동 252-1번지 일원에서 시굴조사와 발굴조사를 통해 1939년 사이토 다다시(齊藤忠)와 가루베 지온(輕部慈恩)이 조사한 결과 미완성 무덤이라고 규정한 백제 교촌리 전축분을 다시 찾았다고 7일 밝혔다.

벽돌을 쌓아 만든 백제 전축분으로는 교촌리 전축분에서 북쪽으로 약 500m 떨어진 공주 송산리 고분군 무령왕릉과 송산리 6호분이 있다.

교촌리 전축분은 무령왕릉처럼 터널형 구조를 갖춘 것으로 조사됐다. 묘광(墓壙·무덤 구덩이)은 가로 3m·세로 6.1m·높이 2m이며, 묘실은 가로 1.9m·세로 3.4m·높이 1.6m다.

김현숙 공주대박물관 학예연구사는 “연꽃무늬 벽돌을 사용한 무령왕릉과 달리 교촌리 전축분 벽돌에는 무늬가 없고, 벽돌을 가로로 쌓아 무덤을 조성했다”며 “이 무덤이 무령왕릉 축조를 위해 연습용으로 만든 미완성 무덤인지, 무령왕릉 이전에 조성한 왕릉급 무덤인지는 아직 명확히 알 수 없다”고 말했다.

그러나 조사단은 교촌리 전축분을 미완성 무덤보다는 백제 왕릉급 무덤으로 보는 시각에 무게를 싣는 분위기다.

이 무덤은 1530년 편찬한 ‘신증동국여지승람’에 기록된 “(공주) 향교 서쪽에 무덤이 있는데, 백제왕릉이라고 전한다”는 대목과 일치하고, 미완성 무덤이라고 볼 근거가 부족하다는 것이 조사단 설명이다.

김 연구사는 “가루베 지온은 무덤 안에 점토가 있고 무덤으로 들어가는 길이 완성되지 않았다는 점을 바탕으로 미완성 무덤이라는 결론을 내렸다”며 “이번 조사에서 전축분 주변에 본래 점토가 많고, 무덤길에 나무문이 있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무령왕릉에 있는 창문 시설인 가창(假窓)은 없으나, 등잔 따위를 놓는 감실(龕室·움푹 판 구멍)이 있어 조심스럽게 해석하면 무령왕릉보다 이른 시기 왕릉급 무덤일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했다.

한편 공주대박물관은 일제강점기 조사에서 2호 전축분으로 명명한 유적은 벽돌무덤이 아니라 한 변 길이가 7∼8m인 네모꼴 석축 단 시설임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교촌봉 정상에 마련한 석축 단 시설은 교촌리 석실분에서 약 150m 거리에 있다. 이곳은 무령왕릉에서 나온 연꽃무늬 벽돌이 출토돼 백제가 만든 중요한 시설이었을 것으로 추정되나, 정확한 용도는 구명되지 않았다.

김 연구사는 “교촌봉은 송산리보다 해발고도가 높아 정상에 오르면 백제 왕성 모습이 한눈에 보였을 것”이라며 “국가가 주관하는 의례나 제례 행사를 개최한 장소로 생각된다”고 말했다.

이어 “교촌리 전축분과 석축 단 시설은 웅진도읍기 백제 왕도 경관을 복원하는 데 도움이 되는 중요한 자료”라며 “두 유적의 성격을 파악하기 위해 추가 연구를 진행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