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한미훈련 중단에 화답하듯… 北 ‘싱가포르성명’ 이행

한미훈련 중단에 화답하듯… 北 ‘싱가포르성명’ 이행

입력 2018-06-15 23:26
업데이트 2018-06-16 03:0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北, 실종 미군 유해 반환 착수

트럼프 “핵전쟁 막으려 인권 압박 안 해, 김정은에 전화번호 전달”… 핫라인 시사
美국무부 “공동성명, CVID 절차의 시작”
주한美대사 지명자 “연합훈련 중단 지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12일 싱가포르 공동 성명과 관련한 조치가 시작됐다고 밝혔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에게 직통 전화번호를 전달했다며 곧 전화 통화를 갖겠다고도 했다. 북·미 간 핫라인 가동을 시사한 것이다. 또 북 인권보다 비핵화가 우선순위의 문제라는 점도 확실히 했다. 북·미 정상회담 후속 조치에 탄력이 붙을 전망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15일(현지시간) 폭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 “북한이 이미 위대한 남아 있는 군인들의 유해 발굴을 시작했다”며 싱가포르 정상회담이 성공적이었다고 평가했다. 양측은 싱가포르 공동 성명 4항에 ‘미국과 북한은 이미 확인된 미군 전쟁포로와 전쟁 실종자 유해의 즉각 송환을 포함해, 유해 수습을 약속한다’고 명시한 바 있다.

또 이번 공동 성명에서 비핵화 관련 합의가 애매하다는 지적에 대해서도 반박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합의에서) 모든 것을 얻었다”고 강조했다. 북한과의 핵전쟁을 원하지 않기 때문에 김 위원장에게 인권 문제에 대해 압박하지 않고 있는 것이라고도 했다. 인권 문제를 다뤄야 하지만 우선 비핵화에 집중하겠다는 의미다. 통상 미국은 상대국과 수교하는 시점에서 본격적으로 인권 문제를 제기했었다.

전날에는 미 국무부가 트럼프 대통령의 한·미 연합군사훈련 전격 중단 발표와 관련해 불거진 논란에 대해 정리했다. 국무부 관계자는 “(북한에) 선의(good faith)를 보이는 차원에서 미국은 생산적인 대화가 지속되는 한 한국과의 ‘워 게임’을 중단하기로 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국무부가 선의를 못박고 나선 건 먼저 연합훈련 중단을 양보한 만큼 북한도 그에 따른 비핵화 조치 등 선의의 대응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한 것으로 풀이된다.

국무부는 6·12 북·미 정상회담 공동성명에 대해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불가역적으로 북한을 비핵화(CVID)하는 과정의 시작”이라는 입장도 재확인했다. 국무부 대변인실 관계자는 “트럼프 대통령은 한 번의 회담으로 모든 이슈를 해결할 것이라고 기대하지 않는다는 걸 분명히 했다”며 “이는 CVID 절차의 시작으로, 이에 못 미치는 그 어떤 것도 받아들일 수 없다”고 강조했다.

해리 해리스 주한 미대사 지명자도 이날 트럼프 대통령의 한·미 연합훈련 중단 방침을 지지하며, 이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비핵화 진정성을 확인하는 차원이라고 말했다. 해리스 지명자는 상원 외교위원회 인사청문회에서 “(한반도의) 전반적인 풍경이 달라졌다”며 “김 위원장이 실제 협상에 진지한지 가늠하는 차원에서 주요 훈련을 일시중단(pause)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최종 결정은 국방부 소관임을 전제로, 주한미군의 일상적 훈련은 지속할 것으로 이해한다고 덧붙였다.

해군 대장으로 지난달까지 미 태평양사령부(PACOM) 사령관을 지냈던 해리스 지명자는 “북·미 정상회담이 진행되면서 우리는 극적으로 달라진 곳에 놓이게 됐다”며 “내 경력에서 처음으로, 평화가 가능한 곳에 있게 됐다”고 소감을 밝혔다.

미 국방부는 이날 “트럼프 대통령의 (연합훈련 중단) 취지를 충족하는 옵션들을 제공할 수 있도록 백악관과 보조를 맞춰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크리스토퍼 로건 국방부 동아태 담당 대변인은 “대통령의 지침을 실행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현재 진행 중인 북한과의 외교적 노력을 전적으로 지지한다”고 강조했다.

안동환 기자 ipsofacto@seoul.co.kr

이경주 기자 kdlrudwn@seoul.co.kr
2018-06-16 5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