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투지 불타는 발칸축구… 일요일 밤 佛 끌까

투지 불타는 발칸축구… 일요일 밤 佛 끌까

심현희 기자
입력 2018-07-12 22:50
업데이트 2018-07-13 00:5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5일 밤 12시 프랑스·크로아티아 결승전… 20년 만의 왕좌탈환이냐 사상 첫 우승이냐

크로아티아의 루카 모드리치(위에서 두 번째)가 12일 모스크바의 루즈니키 스타디움에서 끝난 러시아월드컵 4강전에서 잉글랜드에 2-1로 경기를 뒤집은 뒤 종료 휘슬이 울리자 동료와 포옹하며 코칭스태프를 향해 하이파이브를 하고 있다.  모스크바 AP 연합뉴스
크로아티아의 루카 모드리치(위에서 두 번째)가 12일 모스크바의 루즈니키 스타디움에서 끝난 러시아월드컵 4강전에서 잉글랜드에 2-1로 경기를 뒤집은 뒤 종료 휘슬이 울리자 동료와 포옹하며 코칭스태프를 향해 하이파이브를 하고 있다.
모스크바 AP 연합뉴스
“젊은 프랑스의 패기냐, 베테랑 크로아티아의 간절함이냐.”

15일 밤 12시 모스크바 루즈니키 스타디움에서 열리는 러시아월드컵 결승전은 프랑스와 크로아티아의 대결로 압축됐다. 프랑스가 하루 전 벨기에를 제치고 1998년 자국에서 열린 월드컵 우승 이후 20년 만의 왕좌에 도전하는 가운데 크로아티아는 12일 잉글랜드와의 또 다른 4강전 연장 후반 마리오 만주키치의 결승골로 2-1 역전승을 거뒀다. 1998년 월드컵 본선에 첫발을 내디뎌 3위 신화를 일궈냈던 크로아티아는 이로써 대회 출전 5번째 만에 사상 첫 월드컵 결승 진출 위업을 달성했다.

●佛 음바페 등 평균 26세 젊은 피

킬리안 음바페(19), 앙투안 그리에즈만(27) 등 젊지만 파괴력 넘치는 축구를 과시하는 프랑스는 특유의 패기로 ‘아트사커’ 시대의 문을 다시 한번 열어젖힐 기세다. 루카 모드리치(33), 만주키치(32) 등을 중심으로 노련미를 갖춘 크로아티아는 16강부터 준결승까지 세 경기를 모두 연장 끝에 이기고 올라온 절박함을 더해 사상 첫 월드컵 우승으로 축구계의 새 역사를 쓰겠다고 벼르고 있다.
이미지 확대
두 팀의 차이는 선수들의 평균연령에서부터 확연히 드러난다. 먼저 프랑스의 평균연령은 26.1세로 젊다. ‘베스트11’을 보면 30대 이상의 선수는 위고 로리스(32), 블레즈 마튀디(31), 올리비에 지루(32) 정도다. 나머지는 한창 전성기를 누릴 20대 중반이고 킬리안 음바페처럼 만으로 아직 20세가 안 된 선수도 있다.

대회 초반 프랑스의 어린 선수들이 경험 부족으로 실수를 저지르기도 했지만, 경기를 치르면서 전력은 더욱 탄탄해졌다. 팀의 주축인 그리에즈만과 응골로 캉테(27), 폴 포그바(25)가 확실한 무게감을 자랑했다. 여기에 ‘제2의 앙리’ 음바페의 재능이 폭발하면서 프랑스는 결승까지 승승장구했다.

●크로아티아 29세 노련미·절박함 더해

반면 크로아티아의 평균연령은 만 29세로 프랑스보다 3살이나 많다. 베테랑 모드리치와 만주키치를 비롯해 이반 라키티치, 골키퍼 다니엘 수바시치(34) 등 주전 자원들이 30대를 넘겼다. 여기에 데얀 로브렌, 이반 페리시치, 도마고이 비다(이상 29)도 곧 30대에 접어든다. 평균연령은 높지만 활활 타오르는 집중력이 만만치 않다. 이들은 다음 월드컵까지는 기회가 없다며 이번 대회에 모든 것을 쏟아붓고 있다. ‘황금세대’의 마지막 도전을 월드컵 우승으로 마무리하려는 절박함과 의지가 강하다.

두 팀의 이번 대결은 특히 월드컵 무대 20년 만의 ‘리턴매치’여서 더욱 눈길을 끈다. 유고슬라비아에서 독립해 1993년 국제축구연맹(FIFA) 회원국이 된 크로아티아는 1998년 프랑스대회에 처음 출전해 8강전에서 독일을 3-0으로 완파하는 등 돌풍을 일으켰다.

그러나 4강전에서 개최국 프랑스에 1-2로 패해 3위로 대회를 마쳤고, 크로아티아를 꺾은 프랑스는 우승컵을 들어 올렸다. 이듬해 크로아티아는 FIFA 랭킹 3위까지 오르는 등 전성기를 맞기도 했지만, 이후 월드컵에선 이렇다 할 성적을 내지 못했다. 크로아티아로서는 이번 결승전이 20년 전 패배를 설욕할 기회인 셈이다.

그러나 즐라트코 달리치 크로아티아 감독은 “최선의 경기를 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겠다. 설욕하겠다고 나서지는 않겠다”고 말했다.

심현희 기자 macduck@seoul.co.kr
2018-07-13 26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