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강연으로 만나는 최초의 한글 점자 훈맹정음

강연으로 만나는 최초의 한글 점자 훈맹정음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입력 2018-10-08 22:52
업데이트 2018-10-09 00:0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926년 제생원 맹아부 교사 박두성 제작

김영일 교수, 12일 국립한글박물관 강연
이미지 확대
세종대왕이 훈민정음을 창제했지만, 시각장애인은 여전히 글을 읽을 수 없었다. 이들은 480년이 지난 1926년에서야 한글을 읽을 수 있게 된다. 박두성 선생이 만든 최초의 한글 점자 ‘훈맹정음’ 덕분이다.

국립한글박물관이 9일 한글날과 시각장애인의 권리를 보장하고자 지정한 ‘흰 지팡이의 날’(10월 15일)을 맞아 12일 오후 3시부터 박물관 강당에서 ‘손끝으로 읽는 한글, 훈맹정음’ (포스터)강연을 연다. 전 국립장애인도서관장인 김영일 조선대 특수교육과 교수가 훈맹정음의 창제 배경과 원리를 알려 준다.

훈맹정음 창제 이전의 맹아 교육은 1898년 미국인 선교사 홀 부인이 뉴욕식 점자를 활용해 만든 ‘조선훈맹점자’가 처음이다. 그러나 자모음을 풀어 쓰는 조선훈맹점자는 음절 단위로 끊어 읽는 우리말 체계와 맞지 않았다. 조선시대 서민 의료기관인 제생원 맹아부의 교사였던 박두성 선생은 “앞을 보지 못하는 사람에게 모국어를 가르치지 않으면 이중의 불구가 된다”며 1923년 제자들과 ‘조선어 점자연구회’를 조직해 우리말 점자를 만들기 시작했다. 3년 연구 끝에 자음과 모음을 모아쓰고 모음은 가획의 원리를 반영하는 훈민정음 제자 원리에 입각한 ‘훈맹정음’을 창제했다.

강연회는 온라인 사전 신청을 하면 무료로 참석할 수 있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2018-10-09 21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