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논설위원의 사람 이슈 다보기] 北 혜산시 건설 붐… 2년 새 철도 역사·아파트 단지 우뚝

[논설위원의 사람 이슈 다보기] 北 혜산시 건설 붐… 2년 새 철도 역사·아파트 단지 우뚝

황성기 기자
황성기 기자
입력 2018-11-08 17:32
업데이트 2018-11-08 18: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종석 위원이 매년 확인한 북·중 접경

북한과 중국의 1334㎞ 국경을 다니면 베일에 싸인 북한이 보인다. 이런 일념으로 이종석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은 1996년부터 해마다 북·중 접경 지역을 관찰해 왔다. 그래서 북·중 관계가 전공의 한 분야가 됐다. 단순히 북한과 중국이 맞닿은 국경에 불과했던 접경 지역은 2010년을 계기로 양국 사이에 큰 의미를 지니기 시작한다.
이미지 확대
중국쪽 국경에서 바라본 북한 양강도 혜산시의 모습. 2015년 10월(왼쪽)에는 없던 고층 아파트 단지와 철도 역사가 올해 8월(가운데)에는 들어서 있다. 맨 오른쪽 사진은 가운데 사진의 건설 현장을 확대한 것으로 고강도 제재에도 북한이 일정한 경제 동력을 갖고 있다는 방증이다. 이종석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제공
중국쪽 국경에서 바라본 북한 양강도 혜산시의 모습. 2015년 10월(왼쪽)에는 없던 고층 아파트 단지와 철도 역사가 올해 8월(가운데)에는 들어서 있다. 맨 오른쪽 사진은 가운데 사진의 건설 현장을 확대한 것으로 고강도 제재에도 북한이 일정한 경제 동력을 갖고 있다는 방증이다.
이종석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제공
이 위원은 “정확히 2011년 이전까지는 북·중 간 단 1개의 교량도 일제시대 이후에 만들어진 게 없었다”고 말한다. 일제가 만주국을 만들고 대륙을 침략하려고 교량을 지었는데 일부는 한국전쟁 때 끊어져 나머지를 고쳐 1945년부터 2011년까지 썼다. 북한이 중국과 새로운 관계를 구축하고 개혁·개방을 추진하면서 2012년 중국 지린성 지안과 자강도 만포를 잇는 다리를 제 돈 들여 만든 이후 중국이 건설하는 큰 다리들도 속속 생겨나고 있다. 이 위원은 “이런 현상은 김정일 시대 말기인 2010년에 북한의 개혁·개방이 시작된 것을 뜻한다”면서 “중국 또한 고도성장을 하면서 노동 및 지하 자원이 필요했는데, 그런 자원을 무진장 보유한 북한에 주목했고, 과거 일방적 지원·피지원 관계에서 북한이 중국에 경제적으로 중요한 이해국이 됐으며 그것은 북한에도 마찬가지”라고 덧붙였다.

그는 올 들어 북한과 중국의 정상회담이 남북과 같은 세 차례나 이뤄진 배경을 이렇게 설명한다. “양국 관계가 경제면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동시에 김정은 위원장이 정치 관계를 과거 동맹 수준으로 복원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진단한다. 이어 “김 위원장은 남·북·미 간에 한반도 비핵화를 이룬 뒤에도 견고한 한·미 동맹이 유지될 것으로 보고, 한·중 친선 관계가 있는 한국과 비교해 데면데면한 북·중 친선, 북·미 친선 관계만 존재하는 북한은 기울어진 운동장이라고 생각할 것”이라면서 “그래서 중국을 세 차례나 드나들면서 미래 한반도의 관계 균형을 구축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위원은 접경지 중 양강도 혜산시 같은 곳에서는 몇 해 전부터 건설 붐이 일기 시작했는데, 국제사회 제재에도 불구하고 내적 동력을 키워 가는 북한의 실상을 엿볼 수 있다고 지적한다. 그는 “2016년 전이라면 중국 자본이 들어가 그럴 것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었겠지만, 지난 8월 혜산이 보이는 중국쪽 국경에 가봤더니 도처에서 건설 모습이 관찰됐다”면서 “2년 전 8월에는 아무것도 없던 자리에 철도 역사, 대규모 아파트 단지 등이 보였는데 2017년 초나 여름에 시작된 건설이 지금 여기까지 온 것은 최대 압박과 제재 속에서도 일정한 자력경제 동력을 북한이 갖고 있다는 방증”이라고 강조했다.

황성기 논설위원 marry04@seoul.co.kr



2018-11-09 28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