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생태 돋보기] 나름대로 뽑은 올해의 환경 이슈들/정길상 국립생태원 생태기반연구실장

[생태 돋보기] 나름대로 뽑은 올해의 환경 이슈들/정길상 국립생태원 생태기반연구실장

입력 2018-12-24 22:54
업데이트 2018-12-25 03: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올해의 환경 이슈를 정리해 봤다. 뭐니 뭐니 해도 플라스틱이 가장 주목을 받은 것 같다. 깨지기 쉬운 유리병을 대체하며 한 시대를 풍미했던 플라스틱. 매년 약 3000만t이 생산되며 이 중 900만t이 바다로 흘러간다. 2050년에는 바닷속 물고기보다 플라스틱 쓰레기가 더 많아질 것이란 분석까지 나온다. 유리병으로 되돌아가진 않더라도 친환경 대체재를 찾아야 할 시점이다.
정길상 국립생태원 생태기반연구실장
정길상 국립생태원 생태기반연구실장
1971년 이후 올해 가장 많은 태풍이 발생했다. 10월 말에는 ‘콩레이’가 우리나라를 지나갔다. 이렇게 늦은 태풍은 흔치 않다. 그동안 태풍이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소홀했는데 대비가 필요해졌다.

온실가스는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건물과 교량 공사 등에 사용되는 시멘트는 우리 시야에서 벗어나 있었다. 그러나 시멘트는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8%를 차지해 농업 다음으로 많다. 지난 15일 폴란드 카토비체에서 폐막한 제24차 유엔기후변화협약당사국총회(COP24)에서 배출량을 2030년까지 16% 감축하기로 했다니 기대해 보자. 북극곰은 어린이들이 좋아하는 동물인데 한 마리가 죽어 화제가 됐다. 사인 조사를 해보니 곰은 굶어 죽은 것이 아니라 암으로 추정됐기 때문이다. 기후변화로 북극에 수많은 화학물질이 유입된다. 이로 인해 매년 많은 생물이 멸종위기종 목록에 추가되고 있다. 식물은 전체 생물량이 늘어나고 있다. 모든 숲이 그렇지는 않다. 우리나라에선 구상나무가 쇠퇴하고 있다. 변화가 극심하지 않으면 생물은 적응 기간을 갖는다. 우리 생태계에 그런 시간이 허락될지 걱정이다. 2100년까지 약 20억명의 기후 난민이 해수면 상승으로 삶의 터전을 떠날 것이란 분석도 있다. 사회경제적 악영향은 우리의 상상을 뛰어넘을 수 있다. 세계보건기구는 10년 후 기후변화로 인한 사회의료 비용을 최대 4조 5000억원으로 추정하고 있다. 2050년에는 약 25만명이 기후변화의 직접 영향으로 사망할 것으로 분석됐다. 미세먼지 폐해는 포함되지 않은 수치다.

루이스 브랜다이스는 20세기 초반 자유주의 물결에 따라 대규모 금융경제 주체들이 힘을 형성해 정부 통제가 힘들어짐을 ‘거대함의 재앙’이라고 표현했다. 브랜다이스가 현세를 살고 있었다면 거대함으로 인간을 꼽았을 것이다. 2019년, 거대함이 결코 나쁘지 않음을 보여 주는 노력을 함께하길 기대해 본다.

2018-12-25 25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