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이 영화] ‘쿠르스크’

러시아 소설 ‘닥터 지바고’(1957)의 주인공은 의사일 뿐 아니라 시인이기도 했다. 의사는 몸의 병을 고치지만 시인은 나라의 병폐를 꼬집는다. 지바고가 한 다음과 같은 말이 그 사실을 방증할 것이다. “권력을 가진 자들은 자신들에게 오류가 없다는 신화를 만들기 위해 온 힘을 다해 진실에 등을 돌리죠. 정치는 나에게 아무것도 말해 주지 않습니다. 나는 진리에 무관심한 사람들을 좋아하지 않습니다.”
영화 ‘쿠르스크’
이 문장을 읽으니 알겠다. ‘닥터 지바고’의 작가가 왜 옛 소련 당국의 미움을 샀는지 말이다. 권력을 가진 자들은 자신들이 만든 ‘무오류의 신화’를 추종하는 사람을 좋아하고, 그것이 진리가 아님을 지적해 ‘오류의 진실’을 추구하는 사람을 싫어한다. 이념과는 아무 상관없이. 이런 대립은 역사적으로 거듭된다. 예컨대 2000년 8월 12일 침몰한 러시아 핵잠수함 쿠르스크호 사건이 그렇다. 당시에도 권력을 가진 자들은 자신들이 만든 ‘무오류의 신화’를 지키고 싶어 했다. 그들은 생존자를 구하는 데는 무능했으나 관련 뉴스를 통제하는 데는 유능했다.

이 점을 비판하는 지바고 같은 인물이 필요하다. ‘더 헌트’(2012), ‘사랑의 시대’(2016) 등 뛰어난 작품을 연출한 토마스 빈테르베르 감독은 그렇게 생각한 것 같다. 그래서 그의 영화 ‘쿠르스크’는 시종일관 ‘오류의 진실’을 따른다. 그럼 이 영화에서 지바고에 해당하는 인물은 누구일까. 영화 포스터에 단독으로 등장하는 영국 해군 준장 데이빗(콜린 퍼스)인가, 해저에 가라앉은 쿠르스크호에서 영웅적으로 활약하는 러시아 해군 대위 미하일(마티아스 쇼에나에츠)인가.

나에게는 둘 다 지바고처럼 보이지 않았다. 이들보다는 러시아 군의 무성의한 기자회견에 화를 내고 질문을 퍼붓는 미하일의 아내 타냐(레아 세이두)와 권력을 가진 자와의 악수를 거부한 아들 미샤(아르테미 스피리도노프)가 지바고의 현신처럼 보였다. 소설에서는 죽음을 맞았지만 그는 후대에도 이렇게 살아 있었다(지바고라는 성은 ‘생명이 있는, 살아 있는’이라는 뜻이다). 기억 덕분일 테다. 이것은 죽음 이전의 삶을 잊지 않으려는 노력이자, 죽음 이후 다른 사람들 안에서 사는 삶을 가능케 하는 조건이다. 이로써 유한한 인간은 무한해질 수 있다.
허희 문학평론가·영화칼럼니스트
‘닥터 지바고’의 작가는 그런 불멸성이야말로 자기 작품의 주제라고 밝혔다. ‘쿠르스크’도 마찬가지다. 어둠 속에서 추위에 떨며 편지를 쓰는 미하일의 모습이 괜히 부각되는 게 아니다. 최악의 상황에서 무엇보다 그는 가족에게 본인의 기억을 전하려 애썼다. 다 무슨 소용인가 싶겠지만 소용이 있다. 이게 권력자를 위한 ‘무오류의 신화’에 금을 내는 ‘오류의 진실’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살아 있음에 오류가 없다는 것이 진짜 오류다. 이를 지바고는 시구로 썼다. “산다는 건 들판을 건너는 일이 아니다.”

허희 문학평론가·영화칼럼니스트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