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일시호일’

날마다 좋은 날. 이런 뜻을 가진 ‘일일시호일’(日日是好日)로 ‘지금 이 영화’의 새해 첫 원고를 쓰게 돼 다행이다. 정말로 그렇게 생각했다. 이 덕담은 불운이 닥치지 않기를 비는 마음과는 관련이 없다. 슬픔을 자아내는 일, 화가 치미는 일은 어차피 우리에게 또 일어날 테니 말이다. 그럼 어떻게 날마다 좋은 날을 살 수 있나. ‘일일시호일’은 다도로 그 방법을 알려 준다. 작가 모리시타 노리코의 실제 이야기가 바탕이다.
노리코(구로키 하루)는 스무 살 때 다도에 입문한다. 어째서 다도였을까. 실은 뭐라도 상관없었는지 모른다. 당시 그는 딱히 하고 싶은 걸 찾지 못해 불안해하던 참이었다. 뭔가 구체적인 걸 해 보자. 노리코는 이렇게 결심하고 다도 선생 다케다(기키 기린)에게 가르침을 받는다. 시작부터 난관이다. 단계별로 찻수건 접는 법이 너무 복잡하다. 이 밖에도 지켜야 하는 규칙이 한두 가지가 아니다.

“찻솔을 찻잔에 넣고 밖에서 안으로 끌어오면서 손목을 빙 돌려요. 그리고 멈추면서 왼손으로 잔을 잡고 찻솔을 돌리면서 위로 들어요. 이걸 반복해요.” 손목을 돌리는 이유가 궁금하다. 이를 묻자 다케다는 당혹스러워한다. 그는 그냥 그렇게 하는 거라고, 그게 바로 다도라고 답한다. 혹시 스승이 사이비가 아닌가. 그런 의심이 들 법한 순간 다케다가 다시 말한다. “차는 형식이 먼저예요. 처음에 형태를 잡고 거기에 마음을 담는 거죠.”

노리코는 어땠는지 모르겠으나 그의 설명을 듣고 나는 납득했다. 다도가 테크닉의 ‘술’(術)이나, 합리성의 ‘학’(學)이 아닌, 깨달음의 ‘도’(道)인 까닭을. 형식만 따르는 테크닉과 의미만 따지는 합리성만으로 우리는 잘 살지 못한다. 왜냐하면 삶에는 형식과 의미 둘 다 필요하다는 깨달음이 전제돼야 하기 때문이다. 선후 관계를 보면 형식이 앞선다. 인간이 태어나 죽는다는 조건이 삶에 이미 결정돼 있어서다. 이제 관건은 주어진 형식에 어떤 의미를 새롭게 부여할 것인가다. 이는 노리코에게 다도를 전수하는 다케다의 메시지―‘처음에 형태를 잡고 거기에 마음을 담는다’와 연결된다. 삶을 흔히 길에 비유하는 것도 이와 같은 연유일 테다.
허희 문학평론가·영화칼럼니스트
노리코는 오랜 시간이 지나 체득한다. “비 오는 날에는 빗소리를 듣는다. 눈 오는 날에는 눈을 바라본다. 여름에는 찌는 더위를, 겨울에는 살을 에는 추위를 느낀다. 어떤 날이든 오감을 동원해 마음껏 즐긴다. 다도란 그런 ‘삶의 방식’인 것이다.” 그것이 우리가 다도를 통해 배울 수 있는 날마다 좋은 날의 의의다. 꼭 다도가 아니라도 괜찮다. 지금 여기에 정신을 온전히 집중하게 하는 것이라면, 그래서 그저 그런 매일을 날마다 좋은 날로 바꿀 수 있게 하는 것이라면 당장 하길 권한다. 이것이 ‘일일시호일’을 빌려 당신에게 전하는 나의 새해 인사다.

허희 문학평론가·영화칼럼니스트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