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사설] 코로나 경제난에도 시중은행 퇴직 소득이 9억원 넘다니

[사설] 코로나 경제난에도 시중은행 퇴직 소득이 9억원 넘다니

입력 2021-01-18 17:26
업데이트 2021-01-19 01:0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코로나19 장기화로 경제위기가 가중되고 중소상공인들이 폐업 압박에 시달리는 가운데 시중은행이 희망퇴직 등을 실시하며 명퇴금 등을 포함해 ‘퇴직소득’으로 9억원 이상을 보상한 것으로 드러나 씁쓸함을 자아낸다. 국민은행 노동조합은 한술 더 떠 코로나19로 창업, 전업이 어려운 점을 감안해 특별위로금을 더 달라고 요구해 사측이 공고를 하지 못하고 지점장 인사까지 미뤘다니 딴 세상에 살고 있다는 착각마저 든다.

시중은행들이 비대면 거래 활성화 등을 원인으로 명퇴제 등을 실시하는 것이니 이를 뭐라 할 수는 없다. 다만 명예퇴직자에 대한 위로 금액이 워낙 크다 보니 사회적인 위화감이 조장되는 것이다. 특히 코로나 위기 속에서 부동산 대출 증가와 중소자영업자의 대출 등이 증가하면서 발생한 예대마진(예금이자와 대출이자의 차이)으로 큰돈을 벌어서 금융기관들만 배불리게 된 것은 아닌가 의심을 갖게 되는 것이다.

이런 위화감이 올해만의 일은 아니다. 2019년 5억원 이상의 보수를 챙긴 4개 은행 직원 가운데 가장 많은 퇴직소득을 챙긴 18명의 수령액을 평균 냈더니 무려 9억 3200만원이었다. 하나은행이 11억 8400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KB국민은행이 8억 6600만원, 신한은행이 8억 5400만원, 우리은행이 7억 9800만원이었다. 최대 36개월치 임금에다 자녀 학자금, 전직·창업 지원금, 건강검진권, 여행상품권 등을 챙겼다. 올해도 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에서 희망퇴직으로 이미 떠났거나 이달 안에 떠날 인원이 1700명이다.

지난해 KB금융지주의 당기순이익은 3조 4591억원, 신한금융지주는 3조 4535억원, 하나금융지주는 2조 5028억원으로 추정돼 1년 전보다 늘었다. 금융권은 대출이자 깎는 데는 인색한 덕분에 낸 최대 실적으로 직원들의 주머니를 채워 주거나 명퇴금으로 활용하는 것은 아닌지 돌아보길 바란다.

2021-01-19 31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