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대석 인수위원직 사퇴에 소문ㆍ억측 무성

최대석 인수위원직 사퇴에 소문ㆍ억측 무성

입력 2013-01-14 00:00
업데이트 2013-01-14 17: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외교국방통일 분과 최대석 인수위원이 돌연사퇴했지만 만 하루가 지난 14일까지도 여전히 명확한 사퇴 이유가 알려지지 않고 있다.

이화여대 통일학연구원장인 최 전 위원은 박 당선인의 싱크탱크인 국가미래연구원과 대선캠프 국민행복추진위에서 활동하면서 박 당선인의 대북 공약을 성안했던 터라 차기 통일부 장관 유력 후보로 거론돼 왔다.

특히 역대 인수위에서 인수위원이 중도에 낙마한 첫 사례여서 더욱 궁금증을 자아내고 있지만 인수위뿐만 아니라 본인도 명확한 설명을 하지 않아 인수위 안팎에서는 사퇴 이유를 두고 갖가지 소문과 억측만 난무한 상황이다.

최 전 위원의 사퇴 배경으로는 ‘처가쪽 거액 재산보유설(說)’, ‘대북 강온파간 의견 대립설’, ‘과로설’, ‘아들 이중국적 및 병역문제설’, ‘외부활동 또는 보안 유출로 인한 해임설’ 등이 거론되고 있지만 어느 것도 사실 여부는 확인되지 않고 있는 상태다.

일부 언론에서 최 전 위원이 지난 11일 인수위 관계자들에게 ‘내가 뭘 잘못한 것은 아니고 그냥 책임지기로 했다’고 말했다고 보도했지만 이마저도 분명하지는 않은 상황이다.

최 전 위원이 현재 어디에 있는지도 ‘안갯속’이다. 이러다 보니 ‘지방에 내려가 있다’, ‘이미 해외로 출국했다’ 등 소문이 무성하다.

외교국방통일분과 김장수 간사는 14일 낮 기자들과 만나 ‘강온파와 의견대립설’ 등을 강하게 부인했다.

김 간사는 “내부 알력이라는 얘기가 나온다”는 질문에 “내가 알력을 부릴 사람인가, 윤병세 위원이 알력을 부릴 사람인가. 절대 알력은 없다”고 부인했으며, 최 전 위원이 눈물을 흘렸다는 언론 보도에 대해서도 “눈물을 봤나?”라고 되물으며 일축했다.

김 간사는 “‘일신상의 사유’라는 것 말고는 아는게 없다”고 말했다.

다른 인수위원들도 마찬가지다. 이날 아침 출근길과 점심시간에 기자들과 만난 인수위원들은 최 전 위원의 사퇴 배경에 대해 “모른다”라는 말만 되풀이했다.

윤창중 인수위 대변인도 이날 오전 브리핑에서 최 전 위원의 사퇴 배경에 대해 “일신상의 이유여서 더 이상 추가적으로 말씀드리지 않는 것이 도리”라며 진전된 설명을 내놓지 않았다.

그는 ‘인수위가 구체적인 설명을 안하니 추측성 기사가 쏟아진다’는 지적에도 “인사 때마다 너무나 많은 분들이 피해를 받는다. 가급적 보호해줘야 하는 것 아닌가”라고 답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