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년 장사에 이런 불황 처음”…전통시장 ‘사라진 설 대목’

“40년 장사에 이런 불황 처음”…전통시장 ‘사라진 설 대목’

입력 2017-01-18 10:28
업데이트 2017-01-18 10: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손님 없어 ‘썰렁’…“문의 전화 조차 없다” 상인들 울상

“전통시장이 쓸쓸하다고 적어줘. 사람이 아무도 오지 않잖아.”

설 명절을 앞둔 17일 오전 경기 수원의 대표적 전통시장인 지동시장에서 만난 축산물 판매상 최모(58·여)씨는 장사가 잘 되느냐는 질문에 손사래를 치며 경기가 잔뜩 얼어붙었다고 하소연했다.

그가 취급하는 국내산 육우 가격은 설을 코앞에 둔 이번 주 들어 ㎏당 1천∼1천200원이나 올랐다고 한다. 이렇다 보니 설 차례상에 필수인 구운 고기, 즉 적(炙)을 만들 때 쓰는 우둔, 설도 부위 판매량도 많이 떨어졌다는 게 최씨의 설명이다.

최씨는 “아버님 때부터 40년 가까이 장사를 했지만, 올해 설처럼 장사가 안된 적이 없다”며 “경기가 나빠 안 그래도 손님이 없는데, 고깃값까지 오르다 보니 명절이면 열 근씩 사가던 단골손님들마저 고기를 덜 사 간다”고 털어놨다.

과일이나 생선을 파는 상인들은 주요 상품의 값이 지난해 설과 비슷하거나 되레 떨어졌는데도, 찾는 사람이 없다며 발만 동동 굴렀다.

한 과일 가게에서 파는 선물용 사과의 경우 5㎏ 기준 A급이 3만 5천원∼4만원, B급이 2만 5천원∼3만원으로 지난해 설보다 각각 1만원, 7천원씩 값이 내려간 셈인데도, 문의 전화조차 거의 걸려오지 않는다고 한다.

과일 판매상 박모(51)씨는 “예전처럼 명절 선물을 주고받는 문화가 점차 사라져서 손님들의 문의조차 없다”며 “사과나 배 등 꼭 필요한 과일도 딱 차례상에 올릴 만큼만 사가는 손님이 많다”고 한숨을 내쉬었다.

수산물 판매상 이모(64·여)씨는 “조기, 동태포, 꽃게 등은 5년 전과 똑같은 값을 받는데도 잘 팔리지 않는다”며 “수산물의 경우 못 팔면 버려야 해서 올해 설에는 물량을 대량으로 들여놓는 것은 꿈도 꾸지 못한다”고 푸념했다.

강추위가 물러가 비교적 포근한 날씨가 찾아온 이 날, 농수축산물을 파는 지동시장을 비롯해 인근의 미나리광시장, 못골종합시장 등에도 손님이 없기는 마찬가지였다.

간간이 오가는 50∼70대 손님들도 소량의 음식과 재료가 든 검은 비닐봉지 한두 개를 든 게 전부여서 설 명절 ‘대목’이라는 말을 무색하게 했다.

시민 양모(74·여)씨는 “경기 불황이라 생활비도 빠듯한 마당에 차례상을 어떻게 푸짐하게 차리겠느냐”며 “차례상 비용을 쪼개고 또 쪼개 20만원까지, 작년의 반 수준으로 줄였다. 설 당일날 가족들끼리 먹을 음식만 할 생각이다”라고 전했다.

사정이 이렇자 각 지자체는 전통시장 지원책을 마련하느라 분주한 모습이다.

수원시는 오는 20일부터 사흘간 지동시장 주변에서 달고나 만들기, 솜사탕 먹기, 활쏘기 체험 등으로 구성된 마케팅 행사를 열어 시민들을 끌어들일 계획이다.

24일과 26일에는 염태영 수원시장 등 지자체 관계자들이 주요 전통시장을 방문해 온누리상품권으로 물건을 구매하는 이벤트도 할 계획이다.

경기도는 각 지자체 등과 협의해 지난 16일부터 도내 61개 시장 주변 도로주차를 허용, 방문객들에게 편의를 제공하고 있다. 허용 기간은 이달 30일까지다.

최극렬 수원시 상인연합회장은 “많은 시민이 값싸고 질 좋은 농축수산물을 보유한 전통시장을 애용해줬으면 한다”며 “각종 통계에서 나왔듯이 차례상 비용은 대형마트보다 전통시장이 저렴하다”고 설명했다.

경기도 관계자는 “전통시장 살리기에 큰 도움이 되는 온누리상품권을 애용하도록 각 시군과 산하기관에 홍보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최근 한국소비자원 조사 결과 4인 가족 기준 차례상 비용은 전통시장이 19만3천504원으로, 대형마트(21만3천323원), 기업형 슈퍼마켓(SSM·23만5천782원), 백화점(29만2천680원) 등보다 저렴한 것으로 확인됐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