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마터면 투표 못 할 뻔”…종료 직전까지 이어진 투표 열기[현장]

“하마터면 투표 못 할 뻔”…종료 직전까지 이어진 투표 열기[현장]

김중래 기자
김중래, 강동용, 김예슬 기자
입력 2024-04-10 18:51
업데이트 2024-04-10 18:5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제22대 국회의원선거 투표일인 10일 한 유권자가 투표용지를 투표함에 넣고 있다. 연합뉴스
제22대 국회의원선거 투표일인 10일 한 유권자가 투표용지를 투표함에 넣고 있다. 연합뉴스
“일 마치고 허겁지겁 오다 보니 6시가 거의 다 됐더라고요. 하마터면 투표 못 할 뻔했어요.”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일인 10일 투표소를 찾는 시민들의 발걸음은 투표 마감 시간인 오후 6시 직전까지 이어졌다. 이날 오후 5시 50분쯤 투표 마감 시간이 다가오자 서둘러 투표소를 향하는 시민들이 곳곳에서 눈에 띄었다.

서울 영등포구 당산서중학교에 마련된 당산2동 제8투표소에는 투표 종료 4분을 남겨두고 한 남성이 헐레벌떡 뛰어 도착했다. 운동장을 빠르게 가로지른 남성은 선거 사무원의 손짓을 보고선 재빨리 투표소에 입장했다. 이 남성은 “하루 종일 아이들을 보느라 시간 가는 줄 모르고 있었다”며 “투표는 꼭 해야 한다는 생각에 뛰어왔다”고 말했다.

같은 시각 영등포구 당산초등학교 양평2동 제5투표소에서는 이모(57)씨가 마지막 투표를 마쳤다. 이씨는 “서비스직이라 오늘도 일하다 보니 투표를 못 할 뻔했다”며 “높은 물가, 커지는 빈부격차 등을 해결해줄 수 있는 사람을 뽑았다”고 했다.

마감 시간이 임박해 투표를 마친 이모(39)씨는 “부모가 되다 보니 나의 선택이 나뿐만 아니라 우리 아이에게도 영향을 준다는 생각에 책임감이 더 커졌다”고 말했다. 한연아(29)씨는 “출산율 문제가 심각하다고 말은 하지만 공약을 뜯어보니 사교육이나 대입 관련된 내용만 많았다”며 “어린 자녀를 키우는 부모들을 위해 육아나 보육 제도를 개선해 줄 국회의원들이 많이 당선됐으면 좋겠다”고 했다.

김중래·강동용·김예슬 기자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